국내연구원 0%대 전망 잇따라…한은·KDI, 성장률 조정폭 ‘이목’

입력 2025-05-10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길어진 내수 침체로 숙박·음식점업이 전례 없는 장기 불황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103.8(2020년=100)로 1년 전보다 3.8% 감소했다.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2년 3월(101.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숙박·음식점업 생산(계절조정)은 전월보다 3.0% 줄어 2022년 2월(-8.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위축됐다. 지난해 연말 항공기 사고, 12·3 비상계엄 등으로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14일 서울 시내 한 식당가 음식점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길어진 내수 침체로 숙박·음식점업이 전례 없는 장기 불황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103.8(2020년=100)로 1년 전보다 3.8% 감소했다. 2월 숙박·음식점업 생산지수는 2022년 3월(101.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숙박·음식점업 생산(계절조정)은 전월보다 3.0% 줄어 2022년 2월(-8.1%)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위축됐다. 지난해 연말 항공기 사고, 12·3 비상계엄 등으로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14일 서울 시내 한 식당가 음식점에 임대 안내문이 붙어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국내 민간연구원 중에서 올해 0%대 경제성장률을 전망하는 곳이 늘면서 한국은행과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성장률 조정폭에 이목이 쏠린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KDI는 다음 주 중에 상반기 수정 경제전망을, 한은은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있는 이달 29일에 수정 경제전망을 각각 발표할 예정이다.

한은과 KDI의 현재 전망하고 있는 올해 성장률은 각각 1.5%, 1.6%다. 한은과 KDI 모두 직전 전망치보다 0.4%포인트(p) 낮춘 수치다. 중앙은행과 국책연구기관의 성장률 발표를 앞두고 민간 연구원에서는 0%대를 전망하는 곳이 나타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7%에서 0.7%로 1%p 낮췄다. 나아가 금융연구원은 2.0%에서 0.8%로 무려 1.2%p나 하향 조정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하향조정의 가장 큰 이유는 소비와 투자의 내수 불황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경기 선행지표들의 뚜렷한 반등 신호를 포착할 수 없기 때문”이라며 “향후 대외 불확실성(트럼프 관세 인상 정책의 파급 영향)의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것이기 때문에 이제부터 수출 경기 침체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된다”고 진단했다.

금융연구원은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민간소비 회복이 둔화되고 누적된 수주 부진의 영향으로 건설투자가 크게 부진한 가운데 미국 관세 인상 여파로 수출도 위축되면서 성장이 둔화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1분기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0.2%를 기록하며 ‘역성장 쇼크’를 겪은 만큼 한은과 KDI의 전망치 조정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 가운데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최근 해외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전 세계 상황을 감안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3%에서 2.8%로, 내년 전망치는 3.3%에서 3.0%로 각각 낮췄다. 한국 성장률 전망치는 2.0%에서 1.0%로 내렸다.

이 총재는 “경제성장률을 예상할 때 전 세계 성장률이 얼마인지 근거해서 어느 정도 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야 한다”며 “절댓값만 가지고 (우리는 무조건) 2%, 3%는 기본적으로 해야지 생각하는 건 위험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만 달러선 무너진 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솔라나·도지코인도 동반 하락
  • 이란 의회, 호르무즈해협 봉쇄 의결…유가 급등 우려 커져
  • 서울 '월세살이' 더 늘어나나…전셋값 오르고 전세대출은 DSR 규제 ‘사정권’
  • 美ㆍ이란, 유엔 안보리서 정면 충돌⋯"이란 핵 위협" vs "핵시설 공격, 국제법 위반"
  • SNS 실트 오른 '러브버그', 언제 사라질까?
  • 생중계된 '불꽃야구', 인하대 문교원 씨가 된 사연
  • ‘신약·신기술 보호막 강화’…해외 특허 집중하는 국내 바이오
  • SNS 달군 테슬라 로보택시 체험기…텍사스 오스틴 거리 달린 실제 모습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6.23 09:0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794,000
    • -1.51%
    • 이더리움
    • 3,106,000
    • -3.63%
    • 비트코인 캐시
    • 635,000
    • -2.98%
    • 리플
    • 2,811
    • -2.46%
    • 솔라나
    • 183,600
    • -3.16%
    • 에이다
    • 755
    • -3.21%
    • 트론
    • 369
    • -2.89%
    • 스텔라루멘
    • 320
    • -3.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240
    • -2%
    • 체인링크
    • 16,250
    • -3.56%
    • 샌드박스
    • 325
    • -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