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매공원, 111개소 정원 품은 '시민대정원'으로⋯서울국제정원박람회 개최

입력 2025-05-08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 포스터. (자료제공=서울시)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 포스터. (자료제공=서울시)

서울시는 이달 22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서남권 대표 공원인 보라매공원 12만 평 일대에서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를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올해 박람회 주제는 ‘서울, 그린 소울(Seoul, Green Soul)’로 서울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시민 삶 속에 뿌리내린 자연에 대한 존중과 사랑을 중심으로 서울 전체를 하나의 살아 숨 쉬는 정원으로 만들겠다는 목표다. 정원을 통해 시민 일상에 작은 여유와 자연과의 교감을 선사하고 서울을 생태적으로 건강하고 매력적인 도시로 만들어가는 ‘정원도시 서울’ 비전과도 연결된다.

지난해 90개소였던 정원이 올해는 111개소로 대폭 늘어난다. 특히 기획 단계부터 민관협력과 상생을 핵심으로 한 기업‧기관 참여정원이 지난해 21개소에서 33개소로 확대됐다. 타 지자체와 서울시 25개 자치구 등이 참여해 특색있게 조성한 정원들도 주목할 만하다.

또한 공원 활용도 상승과 소상공인의 판로개척을 위해 공원에서 문화·예술 행사 개최 시 상행위를 일부 허용하는 규제철폐안 제5호(공원 내 상행위 제한적 허용)를 적용해 다양한 판매부스와 푸드트럭을 운영한다. 어르신‧장애인 등 약자 동행 콘텐츠도 준비했다.

이번에 조성되는 정원은 △작가정원 △학생‧시민‧다문화가족‧자치구가 참여한 ‘동행정원’ △기업‧기관‧지자체가 조성한 ‘작품정원’ △서울 이야기를 담은 ‘매력정원’ 등 총 111개다.

▲2025 세계국제정원박람회 내 조성 예정인 작가정원(초청, 공모정원) 조성안 일부 (자료제공=서울시)
▲2025 세계국제정원박람회 내 조성 예정인 작가정원(초청, 공모정원) 조성안 일부 (자료제공=서울시)

먼저 정원이 작품이 되는 국내외 작가정원은 독일 조경가 마크 크리거(작품명 Aviators Garden), ‘2024 서울특별시 조경상’ 대상 수상자 박승진(작품명 The Third Track)이 참여한 초청정원(2개)과 공모정원(5개)으로 구성된다. 공모정원은 ‘세 번째 자연’을 주제로 한 국제공모에 선정된 대한민국 작가 3팀, 이탈리아 1팀, 독일‧체코 1팀 등 5개 작품으로 구성된다.

시민이 직접 주변 경관과 어우러지는 식재 디자인과 특별한 스토리를 담아 조성하는 동행정원은 조경 전공 학생이 참여한 ‘학생정원’(10개)과 ‘시민정원’(16개)이다. 이와 함께 한국 거주 외국인이 직접 만든 ‘다문화정원(11개)’도 선보인다.

가장 큰 규모로 조성되는 작품정원에서는 친환경 사회공헌과 민관협력으로 진행된 ‘기업정원’, 유관 기관‧지자체의 정체성과 노하우를 담은 ‘기관정원’, ‘지자체정원’ 등 총 33개를 만나볼 수 있다.

올해는 정원마켓(정원산업전)도 특별하게 진행된다. 정원산업 분야는 물론 아웃도어‧리빙아트‧디자인까지 분야를 확장, 70여 개 기업이 대거 참여한다. 다양한 분야 신기술‧신제품이 전시되는 ‘정원산업전 PLUS+’, 각종 정원용품과 식물을 전시‧판매하는 ‘가든센터’, 정원 시설물을 활용한 야외 연출 전시인 ‘가든퍼니처 특별전’이 펼쳐진다.

또 정원 도슨트(해설사)의 해설프로그램, 정원 체험프로그램, 캠핑‧독서‧음악 등 정원 속에서 즐기는 다채로운 문화 프로그램 등도 운영한다.

이외에도 ‘제11차 BGCI 세계식물원교육총회(ICEBG) 워크숍(6.12. 코엑스)’, ‘정원도시서울 국제심포지엄(10.17. 서울시청 다목적홀)’ 등 정원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전문적 견해를 들을 수 있는 다양한 국제 학술행사도 기다리고 있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작년 박람회가 대규모 시민대정원 조성을 통한 하드웨어적 변화를 크게 이뤘다면 올해는 정원 인프라 확충은 물론 다양한 시도로 정원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 시민과 정원의 교감을 통해 그린 소울(Green Soul)이 가득한 서울을 만들어 가는 것이 목표”라며 “많은 시민이 박람회를 통해 일상 속 초록빛 행복을 만끽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GI서울보증보험 사흘째 먹통에 실수요자들 '발동동'…은행도 "업무마비"
  • 대규모 총파업·관세 폭탄…韓 제조업 뿌리가 흔들린다
  • '2조6천억원' 땅 지분 꼬였다…압구정 3구역 재건축 위기
  • 美, AI 칩 中 수출 재승인… 삼성 '반도체 봄' 다시 오나
  •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6년, 피해자 절반은 여전히 참는 중 [데이터클립]
  • "경영권 방어 방패 사라진다"… 자사주 많을수록 큰 타격
  • 민생회복 소비쿠폰, 온라인·배달앱 결제 제한…소비자 불만에 해법은?
  • 범여권도 등 돌린 강선우·이진숙…대통령실 '침묵' 이유는
  • 오늘의 상승종목

  • 07.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110,000
    • +0.26%
    • 이더리움
    • 4,365,000
    • +4.58%
    • 비트코인 캐시
    • 680,000
    • +1.34%
    • 리플
    • 4,073
    • +1.93%
    • 솔라나
    • 228,500
    • +3.53%
    • 에이다
    • 1,025
    • +1.99%
    • 트론
    • 411
    • +1.23%
    • 스텔라루멘
    • 651
    • +4.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070
    • +11.4%
    • 체인링크
    • 22,670
    • +5.98%
    • 샌드박스
    • 428
    • +2.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