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외환보유액 세계 순위 9→10위 하락…한은 “25년來 최하위”

입력 2025-05-08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8일 ‘2025년 4월말 외환보유액’ 발표
獨, 금 보유량 많아 10→8위 상승…韓·홍콩, 한 계단씩 하락
지난달 4046.7억 달러, 5년來 최저…“국민연금 외환스왑 및 분기말 효과 소멸”

(한국은행)
(한국은행)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의 세계 순위가 9위에서 10위로 떨어졌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3월 외환보유액(4097억 달러) 규모는 세계 10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월 9위에서 한 계단 낮아졌다. 이는 2023년 8월에 9위를 기록한 이후 1년 6개월 만에 내려 앉은 것이다. 특히 한은이 2000년 12월부터 외환보유액의 세계 순위를 외부에 공개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낮은 순위다. 가장 높았던 순위는 2002년 6월(1124억 달러)에 기록했던 4위다.

한은은 각 국가의 금 보유량이 순위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세계금위원회(WGC) 기준 작년 말 기준 독일의 금 보유량은 3351.5톤(t)으로 알려졌다. 독일의 외환보유액은 2월말 4067억 달러에서 3월말 4355억 달러로 288억 달러 증가했다. 독일은 외환보유액 내에서 금 비율을 70% 수준으로 두고 있다. 특히 독일은 금을 시가로 평가 하기 때문에 최근 금값 상승이 외환보유액 증가로 이어졌다. 외환보유액 내에서 금 비중이 낮은 국가와 대조적이다.

(한국은행)
(한국은행)
지난달 외환보유액은 4046억7000만 달러로 전월대비 49억9000만 달러 감소했다. 2020년 4월 4039억8000만 달러 이후 최저치다.

한은은 외환보유액 감소 배경으로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왑거래(일시적 감소 요인)와 분기말 효과 소멸로 인한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감소 등의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한은 관계자는 “스왑거래 기간중 외환보유액이 거래금액만큼 줄어들지만, 만기시 자금이 환원되기 때문에 외환보유액 감소는 일시에 그친다”고 부연했다.

외환보유액 구성 항목을 보면 유가증권은 3565억 달러로 전월보다 50억3000만 달러 감소했다. 예치금은 같은 기간 9억3000만 달러 줄어든 232억3000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특별인출권(SDR)은 전월보다 7억 달러 증가한 156억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2021년 8월 IMF의 SDR 배분 효과로 140억~150억 달러 수준으로 늘어난 이후 최대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차주 1인당 평균 가계대출 9600만 원 ‘역대 최고’ [빚더미 한국①]
  • 전국 곳곳 호우특보…물폭탄 경계령
  • 리플 15% 급등…한때 3.51달러 돌파
  • “상용화 다가온 XR 시장”…삼성전자, 하반기 승부수 띄울까
  • 세노바메이트 다음은?…SK바이오팜, 후속 파이프라인 언제 나올까?
  • [날씨] 충청 중심으로 쏟아지는 장대비…주말까지 '물 폭탄' 예고
  • 매일 배 아픈 우리 아이, 큰 병은 아닐까? [e건강~쏙]
  • '펑펑' 폭발음 뒤 화마…'3명 심정지' 광명 아파트 화재 참변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10:4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4,283,000
    • +1.81%
    • 이더리움
    • 4,923,000
    • +7.56%
    • 비트코인 캐시
    • 700,000
    • +3.7%
    • 리플
    • 4,912
    • +18.45%
    • 솔라나
    • 246,000
    • +4.86%
    • 에이다
    • 1,164
    • +13.01%
    • 트론
    • 437
    • +3.55%
    • 스텔라루멘
    • 685
    • +11.3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980
    • +1.6%
    • 체인링크
    • 25,450
    • +12.71%
    • 샌드박스
    • 453
    • +5.8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