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CMIM 강화, IMF 모델 집중에 합의"

입력 2025-05-05 05: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왼쪽부터) 히미노 BOJ 부총재, 카토 일본 재무장관, 란 포안 중국 재무장관, 판궁성 PBC 총재, 최지영 기획재정부 차관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
▲(왼쪽부터) 히미노 BOJ 부총재, 카토 일본 재무장관, 란 포안 중국 재무장관, 판궁성 PBC 총재, 최지영 기획재정부 차관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한국은행)
'아세안+3' 회원국의 금융안정망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이하 CMIM)가 국제통화기금(IMF) 모델로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제25차 한일중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 및 ' 28차 ASEAN+3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참석했다.

한편, 아세안+3은 아세안 10개국(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싱가포르,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과 한국·일본·중국으로 구성된다. 통화·금융부문 협력을 논의하는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는 1999년부터 연 1회 개최하며 중앙은행총재는 2012년부터 참가했다.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는 공동성명을 통해 "글로벌 금융안전망(GFSN)의 필수 요소인 효과적인 역내 금융안전망으로서 CMIM을 발전시키는 데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한다"며 "이에 따라 개정된 CMIM 협정을 승인하며, 모든 장관과 총재들의 서명에 따라 신속히 발효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세안+3 국가들은 "아세안+3 역내 금융안전망 강화를 위한 개혁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한다"며 "글로벌 금융안전망을 보다 보완하게 될 납입자본(PIC) 방식을 포함하기 위해 CMIM의 전환을 모색해온 차관들의 지속적인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IMF와의 외환보유액 인정 논의에서 상당한 진전과 많은 노력이 이뤄졌음을 인식한다"며 "더 중요하게 'CMIM 납입자본 모델 구체화를 위한 아세안+3 실무급 보고서'를 승인하고, 차관들이 PIC 모델 옵션을 좁히는 데 진전을 이룬 것을 환영한다. 합의된 PIC 옵션의 평가기준에 따라 아세안+3 지역에 가장 적합한 IMF 타입 모델들에 집중하는 데 동의한다"고 부연했다.

또한 회원국들은 팬데믹·자연재해 등 갑작스러운 외부충격 발생시 신속히 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신속금융 프로그램(RFF) 신설하고, 이에 사용되는 통화를 적격 자유 교환성 통화(FUC)까지 확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CMIM 협정문 개정에 합의했다. 올해 모의훈련(Test Run)을 통해 신설된 RFF가 원활히 작동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기로 했다.

이 총재는 "그간의 성과가 CMIM 신뢰성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며 "회원국간 구체적 모델 합의, IMF와의 추가 협의 진행 등 단계적 접근법을 통해 진전시켜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내년 '제26차 한일중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는 한국(의장국) 주재로, '제29차 ASEAN+3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는 일본과 필리핀(공동의장국) 주재로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美 원전 르네상스에 ‘관세·밸류업 수혜’ 제친 원자력 ETF
  • 李대통령, 안보실 1차장에 김현종...네이버 출신 하정우 AI수석 임명
  • 상장주 5개 중 1개가 신고가…"정책株 내 순환매 가능성"
  • 단독 "지출 최대한 줄여라"…기재부, 추경 앞두고 전부처 '불용예산' 훑는다
  • 금감원·카카오, 불법 채권 추심 카톡 계정 이용 정지한다
  • 서울시 "외국인 부동산 거래 자금조달 내역 면밀히 검증"
  • [르포]"일회용품 없는 야구장 만들자"…빗속 한화구장서 울린 '그린스포츠'
  • 단독 한국교육개발원, 동료 집단 신고에 ‘직장 내 갑질’ 직원 해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770,000
    • +0.1%
    • 이더리움
    • 3,496,000
    • -0.46%
    • 비트코인 캐시
    • 614,000
    • +1.91%
    • 리플
    • 2,996
    • -0.37%
    • 솔라나
    • 203,500
    • +0.89%
    • 에이다
    • 869
    • -1.14%
    • 트론
    • 378
    • +1.07%
    • 스텔라루멘
    • 356
    • -0.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350
    • +0.65%
    • 체인링크
    • 18,170
    • +0%
    • 샌드박스
    • 363
    • -0.8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