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성공하고 실패했던 단일화의 역사

입력 2025-05-04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선출마를 선언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대선출마를 선언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신태현 기자 holjjak@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대선 출마로 국민의힘에선 단일화 협상으로 관심이 쏠린다.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단일화’는 당선의 당락을 좌우하는 최대 변수로 꼽혀왔다. 주로 야권이나 비주류 진영에서 정권 교체나 정치적 승리를 위해 시도됐다. 최근 한 대행의 출마로 화두가 됐던 ‘노무현-정몽준’ 단일화 모델도 대선을 25일 앞두고 이뤄진 2등과 3등 후보들의 ‘깜짝’ 선언이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정몽준 당시 국민통합21 대선 후보는 단일화 합의로 1위였던 이회창 당시 한나라당 대선 후보를 꺾었다.

▲김대중 평화센터가 지난 10일 숙환으로 별세한 이희호 여사의 생애 사진을 12일 공개했다. 1963년 이희호 여사는 아들 홍걸을 낳은 지 2주일 밖에 안지났지만 목포시내를 돌며 남편의 당선사례 감사인사를 함께했다. 왼쪽은 권노갑 보좌관. 이희호 여사의 발인은 오는 14일 오전 6시이며 같은 날 오전 7시 서울 창천교회에서 장례예배가 열린다. 장지는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이다. 2019.06.12. (사진=김대중평화센터 제공) (뉴시스)
▲김대중 평화센터가 지난 10일 숙환으로 별세한 이희호 여사의 생애 사진을 12일 공개했다. 1963년 이희호 여사는 아들 홍걸을 낳은 지 2주일 밖에 안지났지만 목포시내를 돌며 남편의 당선사례 감사인사를 함께했다. 왼쪽은 권노갑 보좌관. 이희호 여사의 발인은 오는 14일 오전 6시이며 같은 날 오전 7시 서울 창천교회에서 장례예배가 열린다. 장지는 서울 동작구 국립현충원이다. 2019.06.12. (사진=김대중평화센터 제공) (뉴시스)

이외에도 성공 사례는 꽤 있다. 1997년 15대 대선에서 김대중(국민회의) 후보와 김종필(자민련) 후보의 단일화로 이른바 ‘DJP 연합’이 형성됐다. 이는 한국 정치사에서 유일한 야권 단일화로 정권교체에 성공한 사례다. 이를 두고선 호남과 충청, 민주개혁세력과 보수지역 기반 정당의 전략적 결합이 주요하게 작용했다는 평가가 있다. 이 때문에 김대중 후보는 대선 도전 3수 끝에 이회창(신한국당) 후보를 누르고 당선됐다.

지난 대선 때도 윤석열 전 대통령과 안철수 당시 국민의당 후보가 대선 투표 6일 전 극적으로 단일화에 성공, 대선 승리까지 거머쥐었다. 여의도 소식에 정통한 관계자는 “당시 안철수 후보와 단일화하지 못했으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집권을 어려웠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윤 전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격차는 0.7%포인트(p)에 불과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 26일 서거했다. 노 전 대통령은 지병으로 오랜 병상 생활을 해왔다. 최근 병세 악화로 서울대병원에 입원에 치료를 받았지만 끝내 눈을 감았다. 사진은 1989년 교황 요한바오로2세 방한 당시 발언하는 노태우 전 대통령 모습. (사진=뉴시스 DB) 2021.10.26. (뉴시스)
▲노태우 전 대통령이 26일 서거했다. 노 전 대통령은 지병으로 오랜 병상 생활을 해왔다. 최근 병세 악화로 서울대병원에 입원에 치료를 받았지만 끝내 눈을 감았다. 사진은 1989년 교황 요한바오로2세 방한 당시 발언하는 노태우 전 대통령 모습. (사진=뉴시스 DB) 2021.10.26. (뉴시스)

하지만 단일화는 말처럼 쉽지 않다. 후보들 간 요구 조건을 맞추는 물밑 협상부터 단일화 이후 과정까지 알력 다툼의 연속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1987년 13대 대선에서 야권의 유력 후보였던 김영삼(통일민주당) 후보와 김대중(평화민주당) 후보는 단일화 실패는 보수 여당 후보였던 노태우 전 대통령이 승리하게 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됐다. 두 사람은 ‘누가 단일 후보가 될 것인가’를 두고 극심하게 대립했다. 그러다 같은 해 10월 29일 김대중 후보가 평화민주당을 창당해 독자 출마를 선언하면서 결과적으로 두 사람은 완주하게 됐다.

19대 대선에서도 안철수(국민의당) 후보와 보수 후보 간 단일화 시도가 있었으나 실패했고, 홍준표(자유한국당) 후보와 유승민(바른정당) 후보의 단일화도 실패하면서 보수 진영의 분열로 문재인 전 대통령(더불어민주당)이 승리했다.

심지어 성공한 사례도 불협화음으로 돌아서기도 했다. 김대중 정부가 들어선 뒤 김종필 전 국무총리는 총리직에 임명됐지만, 집권 중반 이후 DJP 연합은 분열됐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정몽준 후보의 경우도 정 후보가 선거 전날인 2022년 12월 18일 밤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한다고 발표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빠른 사업·대형 평형 극대화 '철의 약속'
  • '소집 해제' 슈가, 직접 인사 전했다…"음주운전, 멤버들에게도 미안" [전문]
  • 트럼프 “대이란 공격 결정 2주가 최대...이란에 정신 차릴 시간 주고 있다”
  • [시승기] ‘조용하고 강한 SUV’…신형 넥쏘, 주행감에 놀라고 효율에 두 번 놀라
  • "새 아파트 살래요"...5년 이하 신축에 쏠리는 수요자들
  • 장마와 함께 돌아온 원조 '좀비물'⋯근원적 공포 표현한 '28년 후' [시네마천국]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시즌 중간 결산 대회…‘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우승 후보는? [딥인더게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829,000
    • -2.06%
    • 이더리움
    • 3,372,000
    • -4.58%
    • 비트코인 캐시
    • 651,000
    • -4.19%
    • 리플
    • 2,967
    • -1.17%
    • 솔라나
    • 195,300
    • -4.41%
    • 에이다
    • 808
    • -3.35%
    • 트론
    • 382
    • +1.33%
    • 스텔라루멘
    • 339
    • -2.0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750
    • -4.36%
    • 체인링크
    • 17,560
    • -4.04%
    • 샌드박스
    • 348
    • -2.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