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한·미 조선업 협력이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한화오션은 미국 해군의 전략적 수요에 맞춰 어떤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건조 체계를 완비하고 있으며, 미국 내 여러 조선소를 확보해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1일 한화오션에 따르면 전날 존 필린 미국 해군성 장관이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방문했다. 김 부회장은 현장에서 존 필린 장관을 만나 한·미 조선업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김 부회장은 존 필린 장관에게 거제사업장에서 유지·보수·정비(MRO) 중인 미국 해군 7함대의 급유함인 ‘유콘’함을 소개했다. 또 거제사업장 내 잠수함 건조 구역과 상선 건조 구역 등 한화오션 거제 사업장의 주요 생산 현장도 함께 둘러봤다.

관련 뉴스
존 필린 장관은 한화오션이 MRO 작업 중인 유콘함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한화오션의 뛰어난 MRO 사업 역량을 직접 확인했다. 지난해 11월 한화오션이 수주한 유콘함은 수리를 마치고 다음 달 출항할 예정이다.
존 필린 장관은 “미국 해군과 대한민국 해양 산업과의 관계는 선박 정비를 넘어,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지역(free and open Indo-Pacific)을 위한 양국 의지를 굳건히 받쳐주는 초석이며, 양국간의 동맹 관계를 더욱 강화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국 정부는 자국의 조선 산업을 재건하고 해군력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동맹국 조선소를 핵심적인 협력 파트너로 삼고 있다. 김 부회장은 “한화오션은 한국 기업 최초로 미국 내 조선소를 인수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 해군 MRO 사업도 성공적으로 완수해 한·미 해양 방산 협력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면서 “한·미 조선업 협력에서 ‘한화오션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라고 말했다.
한화오션은 지난해 8월 국내 조선소 최초로 미국 해군 군수지원함인 ‘월리 쉬라’호의 MRO 사업을 수주해 정비 과정을 거쳐 인도했다. 한화오션은 월리 쉬라호 정비 과정에서 함정의 새로운 정비 소요를 발견해 추가 매출을 보장받는 수정 계약을 맺기도 했다.
또한 한화오션과 한화시스템은 지난해 12월 한국 기업 최초로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해 한국 기업 최초로 미국 조선업에 진출했다. 필리조선소 인수는 한화오션이 보유한 최고의 기술력과 솔루션을 바탕으로 미국 조선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글로벌 해양 방산 산업에서의 입지도 강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한화는 미국 앨라바마주 모빌과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등에 조선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호주 오스탈사 지분 9.9%를 직접 매수하는 등 19.9%에 이르는 오스탈 지분 투자도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