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덕근 "한미, 기술 협의 개시 합의…다음 주 중 실무 협의 진행"

입력 2025-04-25 06: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 장관, '2+2 협의' 이어 USTR 대표 면담

▲안덕근(오른쪽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워싱턴 D.C. 무역대표부(USTR) 회의실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안 장관과 그리 대표는 미국이 우리나라에 대해 부과하고 있거나 부과 예정인 국별 관세(기본+상호 관세) 및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에 대한 예외·감면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오른쪽부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워싱턴 D.C. 무역대표부(USTR) 회의실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악수하고 있다. 안 장관과 그리 대표는 미국이 우리나라에 대해 부과하고 있거나 부과 예정인 국별 관세(기본+상호 관세) 및 자동차·철강 등 품목별 관세에 대한 예외·감면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한미 2+2 통상협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 중인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면담을 통해 양국은 기술 협의 개시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25일 산업부에 따르면 안 장관은 24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워싱턴 D.C. 무역대표부(USTR)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와 양자 면담을 개최하고 한미 간 실무 협의를 조속한 시일 내 개시하기로 합의했다. 이번 면담은 같은 날 오전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함께 진행한 '2+2 통상 협의' 이후 진행됐다. 면담에서 양측은 2+2 통상 협의에서 언급된 상호호혜적 무역 균형 달성을 중심으로 한미 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안 장관은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 및 자동차·철강 등 품목 관세, 향후 부과될 신규 관세 일체에 대한 면제를 요청했다.

산업부는 "이번 면담을 통해 한미 양국 간 협의의 틀에 대한 원칙적 합의가 있었다"며 "향후 협의의 방식과 범위에 대해 다음 주 중 실무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세부 분야와 협의 진행 방식은 추후 관계부처 협의와 권한대행 주재 경제안보전략 태스크포스(TF) 등을 통해 결정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면담에는 산업부 외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 담당자도 참석했다.

안 장관은 "이번 면담을 통해 양국이 기술협의 개시에 합의한 만큼 향후 세부적인 논의를 위한 대화 창구가 마련됐다"며 "향후 관계부처 및 업계와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대미 협의에 차분하면서도 신중하게 임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8,609,000
    • +0.14%
    • 이더리움
    • 3,582,000
    • +2.02%
    • 비트코인 캐시
    • 693,000
    • +1.84%
    • 리플
    • 3,249
    • +3.87%
    • 솔라나
    • 209,600
    • +1.5%
    • 에이다
    • 830
    • +4.14%
    • 트론
    • 392
    • +0.51%
    • 스텔라루멘
    • 380
    • +9.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970
    • +0.03%
    • 체인링크
    • 19,130
    • +3.85%
    • 샌드박스
    • 350
    • +4.7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