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은 17일 "공정한 보상체계와 세대 공존 일자리 구조를 만들기 위해 임금체계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대위에서 "성과의 정당한 보상이 따르고 실력과 노력이 연봉을 결정하는 사회가 공정한 대한민국의 시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성과보다 직급이 우선인 구조에선 청년들이 좌절할 수밖에 없고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에서 뒤쳐지게 될 것"이라며 "지금은 AI(인공지능)을 비롯한 혁신산업이 세계의 판도를 바꾸는 시대인데도 우리 임금시스템은 여전히 과거 산업화 시기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직무성과급 중심의 임금체계개편을추진하겠다"며 "임금 총액은 유지하되 초임자와 고연차의 보수격차를 완화하고, 성과와 책임이 연동되는 구조로 바꿔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겠다. 특히 능력있는 젊은 인재들에게 실질적인 기회를 보장하겠다"고 말했다.
AI 추천 뉴스
정년 유연화와 계속 고용제도 도입도 추진한다. 권 위원장은 "일 할 능력을 갖추고 의지가 있어도 나이가 많아 기계적 정년에 묶여 직장을 그만둬야 한다"며 "이는 현재 63세, 향후 65세까지 상향될 연금 수령 시기와도 심각한 불일치 문제를 부른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