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 중 최다 응시…올해 3월 학평, ‘사탐런’ 뚜렷

입력 2025-04-15 11:3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탐 응시자 전년대비 28% 늘어...과탐은 14% 감소

▲올해 첫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실시된 26일 서울 금천구 금천고에서 학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올해 첫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실시된 26일 서울 금천구 금천고에서 학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지난달 26일 치러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에 35만여 명이 응시해 최근 3년 중 응시 인원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습량이 많은 과학탐구 과목 대신 상대적으로 점수를 따기 쉬운 사회탐구 과목을 택하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올해 수능까지 이어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

15일 이투스에듀에 따르면 이번 3월 학력평가 응시생은 35만1454명으로 집계됐다. 2024학년도 30만8815명, 2025학년도 32만1493명보다 증가했다.

3월 학평 응시생이 늘면서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응시 인원도 늘어날 거란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2024학년도 수능은 28만7502명이, 2025학년도 수능은 30만2589명이 응시했다.

특히 올해 고3 재학생은 '황금돼지띠' 영향으로 전년도보다 2만9961명이 많다. 이투스는 “3월 학평 대비 실제 수능 재학생 응시 인원이 94% 내외인 점을 감안하면 올해 수능 재학생 응시 인원은 전년도보다 2만8000여 명 내외로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수능에는 32만7198명에서 33만788명 가량 응시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3월 학평에서 탐구 영역 선택 과목별 응시 인원을 보면 사회탐구 응시자는 지난해보다 9만8976명(28.2%) 늘었고, 과학탐구 응시자는 3만8979명(13.7%) 줄었다.

과목별로 살펴보면 사회문화 과목은 4만6083명이 응시해 전년 대비 44.0% 증가한 반면, 지구과학과 화학 응시자는 각각 1만2146명(12.5%), 1만1870명(29.7%)이 감소했다.

이투스는 “전체 수험생 수가 증가했음에도 과학탐구 전 과목의 응시 인원이 감소한 것은 각 대학의 과학탐구 응시 지정 폐지 확대와 함께 과학탐구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불안감으로 인해 ‘사탐런’ 현상이 가속화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동경·주민규·김주성 연속골' 홍명보호, 중국에 3-0 완승 [2025 EAFF E-1 챔피언십]
  • 기후변화가 촉발한 ‘탈탄소 경제질서’...‘부의 대전환’이 시작됐다[이상기후, 자본을 흔들다]
  • 신청방법·일정·사용처·지원금액·상위 10%?…‘민생회복 소비쿠폰’ 궁금증 총정리 [그래픽 스토리]
  • 단독 '월세로만 137억' 중기부…"해수부 자리 달라" 요청했다 퇴짜
  • 대출규제 피한 오티에르 포레, 특공 경쟁률 232.9대 1
  • 삼성전자, 2분기 잠정 실적 발표 D-1…어두운 반도체 전망
  • 실리콘투 경영진, 20일간 고점마다 250억대 매각⋯시총 7000억 폭락
  • ‘스트래티지 따라하기’ 확산…전 세계 기업들, 코인 전략자산화 러시
  • 오늘의 상승종목

  • 07.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972,000
    • +0.07%
    • 이더리움
    • 3,494,000
    • +1.1%
    • 비트코인 캐시
    • 673,000
    • -0.52%
    • 리플
    • 3,148
    • +2.37%
    • 솔라나
    • 205,800
    • -0.34%
    • 에이다
    • 797
    • +0.5%
    • 트론
    • 391
    • +0.51%
    • 스텔라루멘
    • 343
    • +3.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490
    • +4.33%
    • 체인링크
    • 18,420
    • +1.1%
    • 샌드박스
    • 334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