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교육부 손 잡고 대학-출연연 협력 강화 시동

입력 2025-04-15 1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과학기술)
(사진제공=과학기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는 15일 경북대학교에서 ‘대학-출연연 협력 강화를 위한 현장간담회’를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제4차 인재양성전략회의에서 발표된 대학-출연연 벽허물기 추진전략의 차질 없는 이행을 위해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연의 자발적 협력 생태계 조성을 촉진하고자 마련했다.

간담회에는 과기정통부 제1차관, 교육부 차관, ETRI원장, 경북대 총장 및 대학·출연연 관계자 등 약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학-연 간 인적·물적 칸막이 제거, 공동연구 및 공동투자 기반의 기술사업화 지원 등의 학-연 협력 정책 방향을 소개하였다. 이어, 경북대와 ETRI는 ’학연 플랫폼 구축 지원 시범사업‘ 등 관련 사업을 통한 양 기관 협업 현황 및 계획을 발표했다.

참가자들은 그간 학연 교류 시 기관 간 협의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가 많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번 안내서를 통해 기관 간 상호 호혜적인 방향으로 협의가 이루어져 교류가 활성화 될 수 있다고 환영의 목소리를 내었다.

양 부처는 올해부터 신규로 착수하는 ‘학연 인력교류 지원 시범사업‘을 소개하고 이 사업을 통해 공동연구과제 기반 없이도 학-연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도록 지원해 초기 협력 부담을 대폭 완화할 예정이라며 현장의 참여를 독려했다. 아울러, 양 부처는 원팀(One-team) 협업체계인 ‘학연 협력 추진 협의체’를 구성해 학연 협력방안을 지속 모색하고 ‘추진전략’을 차질없이 이행하겠다고 밝혔다.

오석환 교육부 차관은 “이번 추진전략은 현장에서 실제 필요로 하는 협력 기반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라며 “학-연 간 칸막이로 작용해 온 규제는 확실히 풀어 자유롭게 교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빈번한 교류를 통해 공동연구부터 인재양성, 기술사업화까지 이어지는 지속가능한 협력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그간 국가 산업·기술발전을 뒷받침해 온 출연연이, 축적된 우수 인프라를 대학과 공유하며 개방형 협력의 중심이 되어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역량을 한 단계 제고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12대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학-연의 강력한 협력거점을 통해 기초원천연구부터 기술사업화까지 단절 없는 전주기 협업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강구 중이며 교육부 및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신규사업 등을 통한 본격 추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100세 시대, 은퇴 파산 막으려면 '4% 법칙' 지켜야"[2025 생애주기 맞춤 콘서트]
  • 정부, 소상공인 재기 지원에 1조4000억 투입
  • 대한민국 브랜드스타 송혜교…그가 사는 집은? [왁자집껄]
  • 김남주, 스무살 된 딸 라희 공개⋯엄마 웨딩드레스 입고 뽐낸 자태
  • 삼성 차기 갤럭시Z 시리즈 언팩 앞두고…애플 폴더블 아이폰 루머 '솔솔'
  • 브레이크 없는 서울 집값…분당·과천까지 '불장' 확산
  • 2025 프로야구 포스트시즌 진출팀은? feat. 피타고리안 승률 [그래픽 스토리]
  • '우리동네는 내가 지킬개' 동네지킴이 반려견순찰대 [포토로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706,000
    • -0.43%
    • 이더리움
    • 3,483,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679,000
    • +5.27%
    • 리플
    • 3,001
    • -0.3%
    • 솔라나
    • 202,000
    • -0.88%
    • 에이다
    • 831
    • -1.19%
    • 트론
    • 380
    • +0.26%
    • 스텔라루멘
    • 346
    • -1.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340
    • +3.07%
    • 체인링크
    • 18,090
    • +0.06%
    • 샌드박스
    • 352
    • -1.1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