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발 공급 과잉과 글로벌 수요 침체로 장기 불황에 빠진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사업재편을 위한 컨설팅 작업이 마무리됐다. 다만 대통령 탄핵에 따른 리더십 공백으로 구조조정 동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화학산업협회는 최근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진행한 사업재편 컨설팅 결과 보고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 정부는 이를 토대로 지난해 발표한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의 후속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당초 대형 인수합병(M&A)이나 구조조정 등 적극적인 사업재편을 위해 정부의 주도적 역할이 요구되기도 했지만, 기업 간 이해관계 등을 고려해 최종 보고서에는 담기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산업용 전기요금 감면과 연구개발(R&D) 시설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검토하는 방안 등이 반영됐다.
일각에선 대통령 탄핵과 대선 국면으로 사업재편 동력이 약화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박근혜 전 정부에서 추진된 석유화학 구조조정이 기업들의 비협조와 대통령 탄핵 등으로 흐지부지됐던 사례가 되풀이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다.
관련 뉴스
2016년에도 정부는 석유화학 사업재편을 추진하며 고순도 테레프탈산(TAP), 폴리스티렌(PS), 폴리염화비닐(PVC) 등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지목했다. 그러나 이렇다 할 대형 M&A나 설비 통폐합은 이뤄지지 않았다. 그해 말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정책 추진 동력이 약해졌고, 기업 차원의 사업재편만 산발적으로 이뤄졌다.
업계 관계자는 “업황 사이클 문제보다는 범용 중심의 성장 전략이 한계에 봉착하며 구조적 불황에 빠진 상황이다”라며 “구조조정 골든타임을 넘기면 생존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