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10일 대선 출마와 관련해 "좀 더 고민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유 전 의원은 내주 경선 후보 등록 기간이 끝나기 전까지 출마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유 전 의원은 이날 경북 안동 산불피해 현장을 찾은 뒤 기자들과 만나 "당이 (대선 경선룰을) 결정하는 것을 이제 보니 저도 좀 더 고민해서 저의 결정을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다"며 "다음 주 초가 등록 기간이니 끝나기 전에 당연히 제 결정을 말씀드려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오전 제21대 대선 관련 1차 예비경선(컷오프)에서 일반 국민 여론조사(100%)로 4명의 후보를 압축한 뒤 2차 컷오프에서 당원 50%·국민 여론조사 50%를 반영해 최종 2명을 선출하는 경선 방식을 확정했다. 국민의힘이 후보 등록을 오는 14∼15일 진행하는 만큼 내주 초엔 출마 여부를 결정할 전망이다.
유 전 의원은 컷오프 방식과 관련한 질의에 "자세히는 아직 파악하지 못 했다"면서도 "어제도 말씀을 드렸는데, 저는 주장하는 바가 분명하다. 그게 저 개인을 위해서가 아니다. 어려운 위기에서 6월 3일날 대선을 치러야 하는 상황이고, 우리 당이 배출한 대통령이 두 번 연속 탄핵을 당한, 완전히 괴멸할 위기에 빠져 있기 때문에 이럴 때는 평상시에 하던 대로 해선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유 전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전격 인터뷰'에서 "역선택 방지라고 아주 이상한 제도를 도입해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만 (조사할 수 있게) 돼 있다"면서 "사실상 당심 100%(당원 투표 100%)하고 거의 비슷하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제일 원하는 후보를 뽑아달라. 아예 국민 손에 맡기는 게 우리 본선 경쟁력을 가장 높이는 길"이라며 "(경선룰 변경을) 시간이 촉박해서 할 수 없다는 것은 뜻을 감추기 위한 핑계"라고 지적했다.
유 의원이 언급한 역선택방지조항은 경쟁 정당의 지지자들이 경선여론조사에 참여해 본선 경쟁력이 낮은 후보를 고의로 선택하는 것을 막는 장치다. 이 장치가 적용되면 여론조사 대상이 지지층과 무당층에 국한된다. 이 때문에 보수 지지가 강한 후보가 부각되고, 반대로 중도 확장성을 가진 후보는 발목이 잡힐 수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