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사모펀드의 두 얼굴

입력 2025-03-24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남양유업은 2013년부터 줄곧 오너리스크에 시달렸다. 홍원식 전 회장뿐 아니라 일가의 회사 자금 유용 혐의는 올해 초까지도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심지어 제품 허위 광고 사태, 홍 전 회장 외손녀의 마약 투약 혐의 등으로 사회부와 연예 뉴스까지 장식했다. 2020년에는 남양유업 주가가 35% 넘게 떨어지기도 했다. 덕분에 남양유업은 소비자 사이에선 ‘불매기업’, 투자자 사이에선 ‘최악의 종목’으로 통했다.

그랬던 남양유업이 달라졌다. 지난해 1월 남양유업은 사모펀드 한앤컴퍼니 소유로 넘어갔다. 시장 우려와 달리 한앤컴퍼니는 남양유업의 적자 행진을 끊어내고 등 경영 정상화에 성공했다. 주가도 지난달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7만 원대에 안착했다. 사모펀드를 단순히 ‘기업 사냥꾼’으로만 규정할 수 없는 사례였다. 설령 차익실현이 목적일지라도, 결과적으로는 기업과 시장에 순기능적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남양유업 사례가 비교적 최근임에도 사모펀드에 대한 여론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MBK파트너스의 홈플러스 기업 회생 신청 때문이다.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를 인수한 펀드 수익률이 양호한 것으로 알려졌음에도, 어떠한 자구책도 없이 회생을 신청했다. 회생 신청 전에 채권단과 협의하지 않았다는 점 등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많다. 홈플러스 부지를 인수한 펀드와 펀드 투자자, 홈플러스 임직원 등 한 기업의 위기를 넘어 사회 전반에 끼친 연쇄적인 충격도 상당하다. 사모펀드의 일방적인 일탈 행위이자 ‘도덕적 해이’란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이유다.

사실 한앤컴퍼니든 MBK파트너스든 모든 사모펀드의 목적은 ‘수익률’이다. 물론 문제 될 건 없다. 수익률이야말로 사모펀드의 존재 이유다. 다만 수익률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자본시장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모든 책임을 외면한다면 이 또한 문제이지 않을까. 과도하게 위험한 선례를 남긴다면 여타 금융·증권업권에 그러했듯, 어느 정도의 제동이 필요한 게 사실이다.

투자 자금을 잘 운용하는 것과 인수한 기업을 운영하는 것 사이에서 이뤄지는 사모펀드의 저울질이 한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논의해야 한다. 시장 홀로 감시와 차입비율 제한 등에 대한 논의를 통해 건설적 대안을 내기엔 어려운 문제다. 이번 사태가 당국과 시장 모두 머리를 맞댄 채 수익 추구의 자율성과 시장 건전성이 균형을 이룰 방안을 찾아가는 시발점이 되길 바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 공급망 다변화 열쇠 ‘글로벌 사우스’에 주목 [2025 ‘코피티션’ 下]
  • 푸바오 근황…다 큰 푸바오 '가임신 증상' 보였다
  • 한동훈 '재해석'ㆍ홍준표 '역공'…국힘 4인방의 '금강불괴' [왕이 될 상인가]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15:0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348,000
    • +1.18%
    • 이더리움
    • 2,549,000
    • +0.43%
    • 비트코인 캐시
    • 523,000
    • +1.95%
    • 리플
    • 3,148
    • +0.87%
    • 솔라나
    • 218,800
    • +2.77%
    • 에이다
    • 1,028
    • +4.47%
    • 이오스
    • 973
    • +4.85%
    • 트론
    • 351
    • +0.29%
    • 스텔라루멘
    • 401
    • +6.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100
    • +19.19%
    • 체인링크
    • 21,570
    • +3.7%
    • 샌드박스
    • 437
    • +8.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