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워스트] HLB그룹주, 리보세라닙 美 FDA 2차 승인 불발에 ‘급락’

입력 2025-03-22 09: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번 주(3월 17~21일) 코스닥 지수는 전주보다 2.02%(14.85포인트) 내린 719.41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3170억 원, 600억 원을 사들였고, 외국인 홀로 3070억 원을 한 주간 팔았다. 외국인은 코스닥 시장에서 알테오젠(-1000억 원), JYP Ent.(-680억 원), HLB(-180억 원), 피에스케이홀딩스(-140억 원), 테크윙(-140억 원) 등을 팔아치웠다.

티알바이오팹, 46.79% 급등

22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 주간 코스닥 시장에서(관리종목, 동전주, 투자 이상 종목 제외) 티알바이오팹는 46.79% 상승한 800원에 마감했고, 앤디포스가 29.45% 올랐다. 캐리는 28.04% 오른 4635원에 장을 마쳤다.

이밖에 주성엔지니어링(25.11%), 듀오백(24.06%), 디에이피(23.44%), 와이씨(23.11%), 지어소프트(22.24%), 바이오인프라(22.02%), 엠젠솔루션(21.76%) 등이 큰 폭 상승했다.

HLB 그룹주, 간암 치료제 리보세라닙 FDA 승인 2차 불발에↓

HLB의 하락폭이 가장 컸다. HLB는 35.42% 하락한 4만6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HLB생명과학(-33.15%·3위), HLB제약(-30.77%·4위), HLB파나진(-21.28%·8위) 등 HLB 그룹주는 코스닥 하락률 상위권에 몰렸다.

HLB그룹의 간암 신약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재차 보완 요청을 받은 데 따라 HLB 그룹주는 일제히 급락했다. HLB그룹은 전날 밤 미 FDA로부터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에 대한 보완요청서를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HLB그룹은 자사 표적항암제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의 병용요법에 대해 2023년 FDA에 간암 1차 치료제 신약 허가를 신청했으나 지난해 5월 항서제약이 보완요구서를 받았고, 이번에 두 번째 신청에서도 승인이 불발됐다.

앱클론(-34.61%)도 8050원에 마감했다. 특별한 악재나 공시는 없었다.

이밖에 디젠스(-25.13%), 동신건설(-23.80%), 팬엔터테인먼트(-21.37%), 오름테라퓨틱(-20.93%), CS(-20.63%) 등이 크게 내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야구장부터 테마파크까지…캐릭터가 '어른이'들을 홀린 비결 [이슈크래커]
  • 5월 2일 임시공휴일 무산됐지만 권장휴무 됐다?...대감집 노비들의 이야기 [해시태그]
  • "SKT 20년 이용했는데 해킹이라니"…전국 대리점 '유심 대란'
  • 빅텐트 최강조합 '한덕석'…"李 꺾을 확률 가장 높다" [디지트라다무스:AI무당]
  • 소방청, 대구 북구 산불 관련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
  • “탄핵 찬성, 반대?” 사회 곳곳에 나타나는 ‘십자가 밟기’ [서초동 MSG]
  • 청주 고교서 특수교육 학생 흉기 난동… 교장 등 6명 부상 [종합]
  • 안전 운전도 하고, 벌점 감경 포인트도 쌓고…‘착한운전 마일리지’는? [경제한줌]
  • 오늘의 상승종목

  • 04.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950,000
    • +0.01%
    • 이더리움
    • 2,561,000
    • -1.54%
    • 비트코인 캐시
    • 504,500
    • -0.3%
    • 리플
    • 3,291
    • +1.86%
    • 솔라나
    • 211,800
    • -1.99%
    • 에이다
    • 1,009
    • -0.49%
    • 이오스
    • 993
    • +3.22%
    • 트론
    • 358
    • +0%
    • 스텔라루멘
    • 410
    • -0.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100
    • -3.79%
    • 체인링크
    • 21,350
    • +0.99%
    • 샌드박스
    • 432
    • +0.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