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안엑스포 19일 개막…"물리·사이버보안 총망라"

입력 2025-03-19 17: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19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는 과기정통부와 행정안전부가 주최하는 ‘제24회 세계보안엑스포(SECON 2025) & 제13회 전자정부 솔루션 페어(eGISEC 2025)’가 개최됐다.  (사진제공=SECON & eGISEC 2025 전시사무국)
▲19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는 과기정통부와 행정안전부가 주최하는 ‘제24회 세계보안엑스포(SECON 2025) & 제13회 전자정부 솔루션 페어(eGISEC 2025)’가 개최됐다. (사진제공=SECON & eGISEC 2025 전시사무국)

19일 세계보안엑스포(SECON 2025)와 전자정부 솔루션 페어(eGISEC 2025)가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막이 올랐다.

과기정통부와 행정안전부가 주최하는 세계보안엑스포는 올해로 24회째를 맞았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영상보안, 출입통제, 생체인식 등 물리보안 솔루션과 네트워크 보안, 엔드포인트 보안 등 사이버보안 솔루션은 물론, 산업보안, 스마트시티 보안, OT 보안, 자동차·선박 보안, 드론 등의 융복합 보안 솔루션이 총망라해 소개된다.

특히, 올해 전시회는 AI를 활용한 스마트 통합관제, 위협 탐지 및 방어 시스템 구축을 위한 AI 기반 보안 시스템이 중점적으로 전시될 예정이다.

이날 진행된 개막식에는 SECON & eGISEC 조직위원회 이기주 조직위원장과 국가정보원 윤오준 3차장, 대통령실 신용석 사이버안보비서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강도현 2차관, 행정안전부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 한국인터넷진흥원 이상중 원장을 비롯해 주최 및 주관기관 대표, 관련 협단체장. 해외 델리게이션 등이 참석했다.

이기주 조직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모든 것이 AI로 수렴되는 시대”라며 “이는 곧 보안의 시대를 알리는 신호탄과 같다”고 말했다. 윤오준 국가정보원 3차장은 “보안은 국가안보와 직결된다”며 “앞으로도 국정원이 먼저 나서 보안의 중요성과 가치를 알리겠다”고 말했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은 “정부가 정보화를 기치로 내건지 올해로 꼭 30년이 됐다”며 “대한민국 정보화의 역사는 보안의 역사와 그 궤를 같이한다”고 말했다.

올해는 전 세계 15개국에서 410곳에 달하는 국내외 대표 물리·사이버 보안기업들이 1785개 부스 규모로 참가해 다양한 보안 솔루션을 선보인다. 이와 함께 전시회 기간에 조직위원회와 유관기관이 개최하는 콘퍼런스도 15개 트랙(114여 개 주제 발표) 규모로 진행된다.

행사 기간인 19일부터 21일까지 ‘전자정부 정보보호 콘퍼런스 2025’도 함께 진행된다. 이 콘퍼런스는 정부부처 및 지자체와 기관, 기업의 정보보호와 디지털 보안의 정책 추진 방향과 제도 개선 등 주요 사업, 최신 사이버 공격동향 및 대응 방안 그리고 보안이슈와 기술동향을 소개하며 전자정부 우수 구축사례 발표를 통해 정보보호 및 보안 실무자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發 ‘관세 충격’ 현실화⋯ 삼성·LG, 멕시코발 ‘30% 관세’에 비상
  • 맥도날드서 ‘고치돈’ 맛이?⋯익숙하면서 새로운 ‘익산 고구마 모짜렐라 버거’ [맛보니]
  • 김준호♥김지민, 13일 결혼…사회 이상민·축가 거미-변진섭 '하객 1200명 예상'
  • 역대급 폭염에 물가 덩달아 고공행진...올 여름 '히트플레이션' 이어지나
  • KBO 올스타전서 나눔 4연승…'미스터 올스타' 주인공은 LG 박동원
  • 가상자산 고공행진 속 美 ‘크립토위크’…기관자금 유입 가속 전망
  • 사사건건 ‘법적 수단’ 동원 尹, 이번에는 구속적부심 카드 꺼낼까
  • 제1180회 로또당첨번호조회 ‘1등 11명 당첨’…당첨지역 ‘경기 3곳ㆍ경남 2곳ㆍ부산 1곳 등’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289,000
    • +0.8%
    • 이더리움
    • 4,022,000
    • +0.63%
    • 비트코인 캐시
    • 689,000
    • -3.77%
    • 리플
    • 3,770
    • +0.08%
    • 솔라나
    • 220,000
    • +0.05%
    • 에이다
    • 982
    • +0.51%
    • 트론
    • 411
    • +0%
    • 스텔라루멘
    • 588
    • +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680
    • +0.96%
    • 체인링크
    • 20,610
    • +0.05%
    • 샌드박스
    • 391
    • +1.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