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시중 통화량 증가폭 축소…투자대기성 자금 증가

입력 2025-03-17 12: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은, 17일 ‘2025년 1월 통화 및 유동성 동향’ 발표
M2, 전월대비 0.5% 늘어…작년 12월 0.9%보다 축소
요구불예금 1.5% 증가…정기예적금 하락으로 투자대기성 자금 늘어

(한국은행)
(한국은행)
올해 1월 시중 통화량 증가폭이 축소됐다. 작년 하반기(10·11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씩 두 번 내렸으나 통화량 증가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투자대기성 자금이 작년 12월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한 영향을 받았다.

한국은행이 17일 발표한 ‘2025년 1월 통화 및 유동성 발표’에 따르면 1월 광의통화량(M2, 계절조정계열, 평잔)은 4203조8000억 원으로 전월대비 0.5%(20조1000억 원) 증가했다. 작년 12월(0.9%)보다 증가폭이 좁아졌다. 현금성자산인 협의통화(M1) 평잔(계절조정계열 기준)은 1277조5000억 원 원으로 전월대비 7조4000억 원(0.6%) 증가했다.

상품별로 보면 요구불예금은 5조5000억 원 증가했다. 작년 12월(2조 원)보다 두 배 이상 늘었다. 정기예금 금리 하락 등으로 투자대기성 자금이 늘어난 영향을 받았다. 반면 금전신탁은 같은 기간 7조8000억 원에서 4조7000억 원으로 줄었다.

한은 관계자는 “연초에는 투자상품이 통화량을 흡수하는데 이번 1월에는 투자에 들어가는 분위기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며서 “지난해 기준금리를 인하했지만 이외에 자산시장의 회복세가 그친 점 등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기예적금은 5조9000억 원 감소했다. 작년 12월(-2000억 원)보다 감소폭이 컸다. 대출 증가세 둔화 등에 따른 은행들의 자금 조달 유인 약화와 지방 정부의 재정집행을 위한 자금 인출 등으로 줄었다.

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 및 기타수익증권을 중심으로 3조9000억 원 증가했다. 기업은 요구불예금, 기타통화성상품 및 금전신탁을 위주로 21조2000억 원 늘었다.

한편, 금융기관유동성(Lf, 평잔, 계절조정계열 기준)은 5717조1000억 원으로 전월대비 0.4% 증가했고, 광의유동성(L, 말잔)은 7175조3000억 원으로 같은 기간 0.8% 늘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에 월가 비관론 확산…증시 전망 줄줄이 하향
  • 한미 재무·통상장관, 이번주 美워싱턴서 '2+2 통상협의'
  • [종합] 한덕수, FT와 인터뷰서 “대선 출마 결정 아직…미국 관세에 맞대응 안 해”
  • 트럼프, 국세청 수장 인선에 베선트 ‘손’…백악관서 힘 빠지는 머스크
  • 수도권 지하철 요금, 6월에 150원 오른다…대선 이후 인상 전망
  • “미쉐린 식당 모두 모였네”…백화점, 고급·차별화 F&B로 불황 타개
  • 심현섭, 오늘(20일) 장가가는 날…11살 연하 정영림과 결혼식 현장 공개
  • 16개월 아기부터 77세 어르신까지…123층 롯데월드타워 ‘스카이런’ 수직 질주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680,000
    • -0.35%
    • 이더리움
    • 2,291,000
    • -1.97%
    • 비트코인 캐시
    • 484,400
    • -0.02%
    • 리플
    • 2,997
    • -0.4%
    • 솔라나
    • 198,100
    • -1.25%
    • 에이다
    • 896
    • -1.32%
    • 이오스
    • 950
    • +3.04%
    • 트론
    • 354
    • +1.14%
    • 스텔라루멘
    • 352
    • -1.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60
    • -0.19%
    • 체인링크
    • 19,290
    • +2.88%
    • 샌드박스
    • 390
    • +0.7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