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라면 수출액, 첫 1.2억 달러 돌파 ‘사상 최대’

입력 2025-03-12 09:5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달 라면 수출액 1749억 원…월간 기준 사상 최대
농심·삼양식품, 해외 법인 설립ㆍ공장 건설 등 잰걸음

▲농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신라면 트램 광고 이미지. (사진제공=농심)
▲농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신라면 트램 광고 이미지. (사진제공=농심)

지난달 라면 수출액이 처음으로 1억2000만달러(1749억 원)를 돌파했다. 월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 수출액이다.

12일 관세청과 한국무역통계정보포털(TRASS) 등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 수출액은 1억2115만3000달러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작년 같은 달(9290만2000달러)보다 30.4% 증가한 수치로 월간 기준 최대다.

이에 따라 올해 1∼2월 라면 수출액은 2억2864만2000달러(약 3333억 원)로, 작년 같은 기간(1억7865만3000달러)보다 28% 증가했다. 올해 1∼2월 라면 수출량은 5만7190톤(t)으로 30.2% 늘었다.

라면은 지난해 농식품 수출 1위 품목이다. K콘텐츠 인기와 간편식 선호 트렌드 등에 따라 세계 각국에서 수요가 증가하면서 라면 수출액은 2015년부터 작년까지 10년간 매년 늘었다. 지난 10년간 연평균 수출액 증가율은 20%에 달한다.

국내 라면업체들은 생산 공장을 추가하는 동시에 해외 법인 설립 등을 통해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농심은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해 이달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유럽법인 ‘농심 유럽’을 설립했다. 또 늘어나는 글로벌 수요에 대응해 부산에 녹산 수출 전용 공장을 설립하기로 했다. 녹산 수출공장이 본격 가동되는 내년 하반기부터 농심은 해외 시장에 제품 연간 27억 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삼양식품은 수출용 라면 생산을 늘리기 위해 밀양 2공장을 짓고 있다. 6월 준공 예정인 공장이 본격 가동되면 해외 매출 확대에 더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3월 경남 밀양시 부북면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에서 진행된 밀양2공장 착공식에서 김정수 삼양라운드스퀘어 부회장이 인삿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양라운드스퀘어)
▲지난해 3월 경남 밀양시 부북면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에서 진행된 밀양2공장 착공식에서 김정수 삼양라운드스퀘어 부회장이 인삿말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양라운드스퀘어)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월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 살펴보니…‘오사카·나트랑·후쿠오카’ 톱3
  • "이 핑계로 미루고, 저 핑계로 늦추고"…개점휴업 연금특위
  •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 연속 하락…리터 당 1635.6원
  • “밑 빠진 독” 게임 구독제의 역사…정액제에서 리니지 스킬 구독까지 [딥인더게임]
  • 마인크래프트 무비, 상상하는 모든 것이 '네모난' 현실이 된다 [시네마천국]
  • 올해 교대 수시, 내신 6등급도 합격·신입생 미충원 속출
  • 티니핑부터 헬로카봇까지…어린이날 선물 어디서 살까
  • "명품에만 앰배서더? NO" 호텔에도 앰배서더 있다 [배근미의 호스테리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920,000
    • +0.14%
    • 이더리움
    • 2,662,000
    • +2.74%
    • 비트코인 캐시
    • 520,500
    • -3.88%
    • 리플
    • 3,174
    • +0.67%
    • 솔라나
    • 216,300
    • -1.01%
    • 에이다
    • 1,031
    • -0.67%
    • 이오스
    • 988
    • -0.6%
    • 트론
    • 366
    • +4.87%
    • 스텔라루멘
    • 422
    • +1.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100
    • +4.09%
    • 체인링크
    • 21,690
    • -0.28%
    • 샌드박스
    • 453
    • +0.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