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대법원 양형위에 "임금체불 양형기준 강화해 달라"

입력 2025-03-11 16: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임금체불 유형 세분화 및 피해자 수 따른 양형 가중 등 요청

(자료=고용노동부)
(자료=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가 대법원 양형위원회에 임금체불 범죄에 관한 양형기준 강화를 요청했다.

김문수 고용부 장관은 11일 이상원 양형위원장을 만나 임금체불 양형기준에 관한 의견을 교환했다.

2017년 7월부터 시행된 현행 ‘근로기준법’ 위반에 관한 양형기준에 따른 임금체불 기본형량은 체불액에 따라 5000만 원 미만 4~8개월, 5000만 원 이상 1억 원 미만 6~12개월, 1억 원 이상 8~18개월이다. 다만, 행위자가 진지하게 반성하거나 형사처분 경력이 없다면 감경요소로 반영한다. 또 자수 또는 내부고발로 체불이 적발됐거나, 피고인의 건강상태가 안 좋거나, 피고인의 구금이 부양가족의 곤경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집행유예에 긍정적 참작사유로 고려한다.

이에 따라 임금체불에 관한 처벌은 피해액과 무관하게 대부분 소액 벌금형에 그치고 있다.

고용부는 임금체불 범죄유형을 체불 규모를 기준으로 한 3개 유형에서 더 세분화하고, 고액 체불에 관한 양형기준을 강화할 것을 요청했다. 벌금형에 대해서도 피해액을 고려할 것을 주문했다. 이 밖에 피해자 수와 체불 기간을 양형 가중요소에 명시하고, 일정 규모 이상 고액 체불은 집행유예가 선고되지 않도록 부정적 주요 참작사유에 포함되도록 검토를 요청했다.

고용부는 4월 제10기 양형위원회 출범 후에도 근로기준법 위반죄에 관한 양형기준 강화를 위해 양형위원회와 지속해서 협의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종투사 지정 예고에 분주…조직 손질에 인력 모시기 [초대형IB 대전 上] ①
  • 현대차·기아에 BYD도 참전…뜨거워지는 ‘중고차 시장’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전세사기 불씨 언제쯤 꺼질까…전국 강제경매로 팔린 주택, 1분기 내내 늘었다
  • 전장연, 오늘 혜화역 4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K바이오, 남성 암 2위 ‘전립선암’ 진단·치료제 시장 개척 속속
  • [날씨] "봄 날씨 즐기세요" 낮 최고 27도…내일은 출근길 우산 필수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638,000
    • -0.21%
    • 이더리움
    • 2,288,000
    • -1.89%
    • 비트코인 캐시
    • 486,200
    • +0.58%
    • 리플
    • 2,989
    • -0.53%
    • 솔라나
    • 198,200
    • -1.39%
    • 에이다
    • 895
    • -1.32%
    • 이오스
    • 940
    • +2.17%
    • 트론
    • 353
    • +0.57%
    • 스텔라루멘
    • 352
    • -1.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10
    • -0.43%
    • 체인링크
    • 19,230
    • +2.72%
    • 샌드박스
    • 389
    • +0.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