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운용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 ETF’ 순자산 2조 돌파

입력 2025-03-07 09: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삼성자산운용은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이 2조 원을 돌파해 2조65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이 상품은 CD1년물 하루치 금리를 매일 복리로 수익 반영을 하면서 동시에 코스피 200지수가 하루 1% 이상 상승 시 연 0.5%(연환산)의 하루치 수익을 추가로 지급한다.

기초자산으로 삼고 있는 CD1년물은 기존 CD91일물과 한국무위험지표금리(KOFR) 보다 투자 기간이 더 길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기본 금리가 더 높다. 여기에 코스피200지수 상승에 따른 연 0.5%의 하루치 수익이 추가로 제공되기 때문에 국내 금리형 ETF 중 가장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이다.

특히 지난해 연말부터는 월배당 상품으로 전환돼 원금을 지키면서도 성장형 상품에 월 적립식으로 투자할 수 있는 상품으로서 더욱 각광받고 있다. 한 달 동안 누적된 수익을 매월 마지막 영업일을 기준으로 투자자들에게 분배금으로 지급하는 월분배 방식이다.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 ETF에 투자하면 연 3% 내외의 분배금을 기대할 수 있어 ‘거치식+월적립식’ 혼합 투자를 할 수 있다. 실제 지난달 말 기준으로 배당률이 0.25%에 해당해 2579원을 분배금으로 지급됐다.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 ETF는 금리형 ETF의 안정적인 구조를 바탕으로 수익성까지 한 단계 더 높인 차별점으로 기관은 물론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이 ETF는 지난해 4월 출시 이후 개인 투자자 순매수가 730억 원 수준에 달한다.

이 상품은 퇴직연금(DC·IRP) 계좌, 연금저축계좌, 중개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에서 모두 100% 투자가 가능하다. 연금계좌와 ISA에서 투자할 경우 세액공제, 저율 과세, 비과세 등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신현진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KODEX CD1년금리플러스액티브 ETF는 원금을 최대한 지키는 안정적인 투자를 하면서도 새로운 수익 구조를 통해 좀 더 높은 수익을 제공받을 수 있는 점, 월분배금 지급으로 거치식 투자와 동시에 성장형 상품에 추가로 투자할 수 있는 점 등으로 상장 이후 빠른 시간 내에 순자산 2조 원을 달성했다”고 했다.

이어 “앞으로도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금리형·파킹형 ETF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며, 삼성자산운용은 기관형 단기금리 시장에 개인 투자자들이 좀 더 손쉽고 효율적인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 공급망 다변화 열쇠 ‘글로벌 사우스’에 주목 [2025 ‘코피티션’ 下]
  • 푸바오 근황…다 큰 푸바오 '가임신 증상' 보였다
  • 한동훈 '재해석'ㆍ홍준표 '역공'…국힘 4인방의 '금강불괴' [왕이 될 상인가]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15:01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263,000
    • +1.1%
    • 이더리움
    • 2,544,000
    • +0.24%
    • 비트코인 캐시
    • 522,500
    • +1.75%
    • 리플
    • 3,142
    • +0.67%
    • 솔라나
    • 218,500
    • +2.82%
    • 에이다
    • 1,028
    • +4.58%
    • 이오스
    • 972
    • +4.85%
    • 트론
    • 351
    • +0.29%
    • 스텔라루멘
    • 401
    • +6.37%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800
    • +20.41%
    • 체인링크
    • 21,540
    • +3.76%
    • 샌드박스
    • 435
    • +7.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