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 36개 벤처투자기관과 물산업 지원

입력 2025-02-13 16: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물산업 투자기관 협의회 정기총회 개최

▲한국수자원공사가 13일 물산업 투자기관 협의회 2025년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자원공사가 13일 물산업 투자기관 협의회 2025년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36개 벤처투자기관과 물산업 성장 촉진 및 투자생태계 활성화를 논의하기 위한 자리를 가졌다.

K-water는 13일 서울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이러한 내용의 물산업 투자기관 협의회 정기총회를 개최했다.

물산업 투자기관 협의회는 물 분야에서 유망한 기업과 투자기관 간 연결을 돕는 플랫픔으로, 투자자금이 필요한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물산업 지역혁신 벤처펀드를 운용하는 K-water와 한국벤처투자, 민간 투자기관 등이 2022년 12개사로 출범해 올해 36개사로 확대 운영되고 있다. 지난 2년간 47명의 물산업 투자심사역을 교육·배출하기도 했다.

총회에서는 연간 협의회 운영계획 등 주요 안건과 함께 기후위기 시대 변화하는 국제 질서에 맞는 기업의 생존 전략 등을 주제로 논의가 진행됐다. K-water는 미래 물산업 발전을 위한 'K-water 스타트업 육성체계 및 투자기관 협업계획', '글로벌 스케일업 실행전략 및 초격차기술' 등을 발표했다.

K-water의 초기창업패키지 및 창업도약패키지 등 스타트업 지원사업에 선정된 유망기업의 투자 연계 기업설명회(IR)가 함께 진행됐다. 지난달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제품 박람회인 CES2025에 함께 참여하며 혁신상을 받은 화우나노텍, 퍼스트랩을 비롯해 총 6개사가 제품과 기술 등을 소개했다.

안정호 K-water 그린인프라 부문장은 "혁신 물관리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성장한계를 허물고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K-water는 자체 자금을 활용한 투자 활동 외에도 중소벤처기업부,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 투자기관과 2021년부터 5년간 조성한 4668억 원 규모의 충청권, 강원권 등 지역혁신 벤처펀드로 물 분야 혁신기업의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114개사에 1185억 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가격 인상은 ‘껑충’...식품기업, 연구개발비 투자는 매출의 1%미만 ‘찔끔’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 한덕수 단일화 ‘반대 입장’ 한동훈…막판 변수로 작용하나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다음 타깃은 ‘재한외국인’…영어 베타 버전 가동
  • 대법, ‘이재명 공직선거법’ 상고심 5월 1일 선고...대선 구도 영향
  • 임신 준비 전 건강 체크는 필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경제한줌]
  • 다 올랐는데 韓 코인은 어디에?…2025년 김치 코인 현주소 [블록렌즈]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802,000
    • +0.26%
    • 이더리움
    • 2,621,000
    • +1.35%
    • 비트코인 캐시
    • 535,000
    • +5.84%
    • 리플
    • 3,290
    • -0.78%
    • 솔라나
    • 212,800
    • -0.79%
    • 에이다
    • 1,025
    • +0.1%
    • 이오스
    • 1,009
    • +4.02%
    • 트론
    • 355
    • +0.57%
    • 스텔라루멘
    • 406
    • -1.6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100
    • -2.69%
    • 체인링크
    • 21,560
    • +0.75%
    • 샌드박스
    • 436
    • +0.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