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군병력 1000명 미만 보고 받은 尹…“국회‧선관위 투입하면 되겠네”

입력 2025-02-03 17:4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탄핵심판 4차 변론기일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이 ‘12‧3 비상계엄’ 당시 경찰력을 국회 등에 우선 배치하고, 군은 간부 위주로 투입하라고 지시한 정황이 확인됐다.

3일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윤 대통령의 공소장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 직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지금 만약 비상계엄을 하게 되면 병력 동원을 어떻게 할 수 있느냐’고 물었다.

김 전 장관은 “수도권에 있는 부대들에서 약 2만~3만 명 정도 동원이 돼야 할 것인데, 소수만 출동한다면 특전사와 수방사 3000~5000명 정도가 가능하다고 보고받았다”고 답했다.

이후 윤 대통령이 ‘간부 위주로 투입하면 인원이 얼마나 되느냐’고 묻자, 김 전 장관은 “수방사 2개 대대 및 특전사 2개 여단 등 약 1000명 미만이라고 보고받았다”고 했다.

그러자 윤 대통령은 “그 정도 병력이라면 국회와 선관위에 투입하면 되겠네”라고 말했다.

다만 검찰은 윤 대통령의 직·간접 지시에 따라 비상계엄 당시 방첩사·특전사·수방사·정보사 등의 무장군인 약 1600명, 경찰 약 3800명 등 5400명이 국회와 선관위 등에 투입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아울러 공소장에는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직전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언론사와 여론조사 업체를 봉쇄하고 단전·단수조치를 지시한 정황도 담겼다.

윤 대통령은 비상계엄 선포 직전 국무위원 소집을 지시한 이후 대통령 집무실에서 이 전 장관에게 ‘24시경 한겨레와 경향신문, MBC, JTBC, 여론조사 꽃을 봉쇄하고 소방청을 통해 단전, 단수를 하라’는 내용이 기재된 문건을 보여주고 비상계엄 선포 이후 조치 사항을 지시했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포고령 발령 직후인 오후 11시34분께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연락해 경찰의 조치 상황을 확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경북 북동부 산불 사상자 50명…사망 24명·중상 12명·경상 14명"
  • 계열·협력·합작사 미 동반 진출…여의도 4배 면적에 ‘미래차 클러스터’ 형성 [베일벗은 HMGMA]
  • “발톱무좀 치료 240만 원”…과잉진료 의심병원 가보니 [8조 원의 행방 中]
  • 트럼프 “4월 2일 상호관세, 모든 국가에 부과…관대해서 놀랄 것”
  • 경기 불황에도 국회의원 77% 재산 늘었다 [재산공개]
  • 임영웅, 세금 체납으로 51억 펜트하우스 한때 압류…"우편물 확인 못 해"
  • "요즘 야구에 '흥참동'이 웬 말"…모든 야구 팬들이 웃을 수 없는 이유 [이슈크래커]
  • "신차보다 중고차 살래요" 이유는? [데이터클립]
  • 오늘의 상승종목

  • 03.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440,000
    • -0.32%
    • 이더리움
    • 2,971,000
    • -2.46%
    • 비트코인 캐시
    • 493,200
    • -0.38%
    • 리플
    • 3,474
    • -3.77%
    • 솔라나
    • 202,400
    • -4.53%
    • 에이다
    • 1,075
    • -2.09%
    • 이오스
    • 856
    • +1.54%
    • 트론
    • 342
    • +2.09%
    • 스텔라루멘
    • 422
    • -2.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200
    • +0.58%
    • 체인링크
    • 22,500
    • -1.19%
    • 샌드박스
    • 457
    • +1.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