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 첫 연 10조 매출 기록…영업익 7350억원

입력 2025-01-24 13: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23년 대비 매출 15%, 영업익 11% 증가
AI·서버·전장 등 고부가 제품 공급 확대

▲삼성전기 수원사업장 전경 (자료제공=삼성전기)
▲삼성전기 수원사업장 전경 (자료제공=삼성전기)

삼성전기가 인공지능(AI) 수요 강세에 힘입어 지난해 사상 이래 매출 10조 원을 처음 돌파했다.

삼성전기는 24일 지난해 및 4분기 잠정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0조2941억 원, 영업이익 735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6%, 11%씩 증가했다.

4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4923억 원, 영업이익 1150억 원으로 2023년 4분기 대비 8%, 1%씩 증가했다.

삼성전기는 전장·서버 등 고부가제품 수요가 증가해 전장용 적층세라믹커패시터(MLCC)와 서버용 플리칩 볼그리드 어레이(FC-BGA) 공급을 확대해 전년 동기보다 매출 및 영업이익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2024년 전장용 MLCC 매출은 고온·고압품 등 전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신규 거래선 추가 진입을 통해 2023년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성장률을 달성했다. 패키지사업부의 연간 매출도 베트남 생산설비 본격 가동 및 서버, ARM 중앙처리장치(CPU) 기판 등 고부가 제품 공급을 확대해 2023년보다 증가했다.

올해는 AI 서버의 고성장세 등 AI 수요 강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고 자동차의 전장화 확대 등으로 전장용 시장 성장 또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전 분기 및 전년 동기보다 두 자릿수 이상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삼성전기는 AI 서버용 MLCC/패키지기판, 전장용 MLCC/카메라모듈 등 고부가제품 관련 라인업을 강화하고 고객사 다변화 및 공급 확대를 지속할 계획이다.

▲삼성전기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2000 V(볼트) 적층형세라믹콘덴서(MLCC)를 개발했다. (사진-삼성전기 뉴스룸)
▲삼성전기는 전기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용 2000 V(볼트) 적층형세라믹콘덴서(MLCC)를 개발했다. (사진-삼성전기 뉴스룸)

컴포넌트 부문의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1% 증가한 1조 818억 원이다. 삼성전기는 전기차(EV)/하이브리드 수요 증가와 주행보조(ADAS) 기능 탑재 확대 영향으로 전장용 MLCC 공급이 증가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증가했지만 연말 고객사 재고조정을 포함한 계절적 요인으로 정보기술(IT)/산업용 제품 공급이 감소해 전 분기 보다 매출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올해도 AI 서버 시장의 확대가 지속될 전망이고, 자율주행 관련 빅테크 및 완성차 기업이 전장화 기능을 일반 차량까지 확대하면서 AI서버·전장용 MLCC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패키지솔루션 부문의 4분기 매출은 5493억 원이다. 전년 동기보다 24%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기는 글로벌 거래선향 서버·네트워크용 FCBGA 등 공급 확대로 전년보다 실적이 개선됐지만, 연말 스마트폰 재고조정 등으로 전 분기보다 매출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광학 솔루션 부문의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 감소한 8612억 원을 기록했다. 삼성전기는 전장용 주요 거래처의 신모델 출시 전 연말 재고 조정 등의 영향으로 매출이 소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것만 알면 '코잘알'…메타마스크서 자유자재로 입출금하기 [코인가이드]
  • 韓권한대행, 직무 복귀...통상전쟁·마은혁 임명 등 과제 산적
  • "좋은 캐디는 좋은 스윙과 같다"…타이거 우즈, 세계 1위 뒤엔 그가 있었다 [골프더보기]
  • 출렁다리·전망대로는 부족했나…지자체, 이번엔 ‘케이블카’ 경쟁 [이슈크래커]
  • 이재명 “한 총리 탄핵할 정돈 아니란 판결, 국민이 납득하겠나”
  • 뉴진스, 법원 결정 준수해 활동 잠정 중단 결정…어도어 “만나서 논의 희망한다”
  • 키키, 정식 데뷔 D-day…'아이 두 미'와 정반대 매력 어떨까
  • "원하는 사람만 새 실손 전환"…보험계약 재매입 실효성 논란
  • 오늘의 상승종목

  • 03.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9,065,000
    • +2.75%
    • 이더리움
    • 3,065,000
    • +3.48%
    • 비트코인 캐시
    • 490,000
    • +2.51%
    • 리플
    • 3,619
    • +1.63%
    • 솔라나
    • 207,300
    • +5.93%
    • 에이다
    • 1,078
    • +3.06%
    • 이오스
    • 842
    • -0.24%
    • 트론
    • 336
    • -2.33%
    • 스텔라루멘
    • 427
    • +2.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700
    • +2.58%
    • 체인링크
    • 22,240
    • +4.51%
    • 샌드박스
    • 442
    • +5.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