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통합하고, 존속 어려운 시·군 일반구 등으로 전환해야"

입력 2025-01-22 15: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 자문위원회, '지방행정체계 개편 권고안' 발표

▲지난해 5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 자문위원회 출범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해 5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진행된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 자문위원회 출범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행정안전부의 전문가 자문그룹이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에 대응한 광역시·도 간 통합과 시·군·구 통합을 권고했다.

홍준현 미래지향적 행정체제 개편 자문위원회(미래위) 위원장은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지방행정체계 개편 권고안’을 발표했다.

미래위는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 완화에 기여하고, 인구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전국 어디서나 기본적 삶의 질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권고안을 마련했다. 개편방안으로 광역시·도 간 통합, 시·군·구 통합, 특·광역시와 시·군 간 구역 변경, 비수도권 거점 대도시 확대, 지방자치단체 기능 조정, 특별지방자치단체 활성화, 자치계층 재검토, 읍·면·동 효율화를 제시했다.

홍 위원장은 “개편방안들은 개별적, 단편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으로, 체계화해 추진돼야 한다”며 “지역이 주도해 최적의 개편안을 찾아내고, 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형태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광역시·도 간 통합에 대해 홍 위원장은 “위원회가 제시하는 통합을 고려할 수 있는 지역은 지역의 역사성, 규모의 경제 등을 고려할 때 비수도권 광역시와 도라고 판단된다”며 “광역시・도 통합은 지역이 주도해야 할 것이며, 효과적인 초광역 행정을 위해 통합 후 광역·기초 2계층을 유지하고 정부는 권한을 적극 이양하는 등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시·군·구 통합에 대해선 “과소 시·군 통합 외에 초광역권 성장을 견인하는 거점도시 조성형 통합도 가능하며, 대도시 행정 효율을 위한 자치구 간 통합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광역시와 연접 시·군 간 구역 변경은 지역 발전 가능성이 큰 지역을 연접한 특·광역시로 편입하는 것으로, 행정·재정적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비수도권 거점 대도시 확대는 특례시와 대도시가 거점으로 기능하면서 인구 유출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게 목적이다.

지방자치단체 기능 조정과 관련해선 “시·도에서 필요한 권한과 특례를 부여할 수 있도록 일반화한 제도를 마련하는 한편, 특례시·대도시에는 더 높은 수준의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며 “예산과 인력이 부족한 시·군에 대해서는 일부 사무를 관할 도가 직접 수행하도록 하는 사무특례를 둬 부담을 경감시켜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별지방자치단체 활성화에 대해선 “여러 자치단체가 상호 연계·협력하는 제도로 이에 대한 재정지원 확대 방안을 마련하고, 정부 차원의 협의체 등 효과적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정부는 특별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기에 적합한 사무를 제시해 광역 간, 기초 간, 광역·기초 간 협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 광역·기초 2계층에 대한 중장기적 재검토와 읍·면·동 효율화는 각각 광역시 내 자치구와 존속이 어려운 시·군을 일반구나 행정시·군으로 전환하고, 지역 특성에 따라 읍·면·동을 자유롭게 설치하도록 유연화하는 게 골자다.

홍 위원장은 “지방행정체제는 정책이 집행되는 그릇과 같아서 이를 개편하지 않고서는 어떠한 균형발전, 인구감소 대책도 유의미한 효과를 거둘 수 없다”며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그리고 주민에게 지속 가능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더 늦기 전에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189,000
    • +2.36%
    • 이더리움
    • 2,782,000
    • +7.7%
    • 비트코인 캐시
    • 586,500
    • +13.55%
    • 리플
    • 3,118
    • +3.55%
    • 솔라나
    • 218,400
    • +5.3%
    • 에이다
    • 1,015
    • +6.73%
    • 이오스
    • 1,176
    • +12.54%
    • 트론
    • 352
    • +0.57%
    • 스텔라루멘
    • 386
    • +4.8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750
    • +6.31%
    • 체인링크
    • 21,000
    • +8.14%
    • 샌드박스
    • 410
    • +6.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