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미국 조지아주 데이터센터에 16조원 투자

입력 2025-01-08 16: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클라우드 컴퓨팅 및 AI 기술 인프라 확충
“이번 투자로 AI 미래 지원할 것”

▲2023년 11월 2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아마존웹서비스(AWS) 주최 컨퍼런스를 방문한 사람들이 보이고 있다. AP연합뉴스
▲2023년 11월 2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아마존웹서비스(AWS) 주최 컨퍼런스를 방문한 사람들이 보이고 있다. AP연합뉴스

아마존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부인 아마존웹서비스(AWS)가 7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클라우드 컴퓨팅 및 인공지능(AI) 기술 인프라 건설에 110억 달러(약 16조 원)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AWS는 보도자료를 통해 “생성형 AI가 고급 클라우드 인프라와 컴퓨팅 성능 수요를 높이고 있다”면서 “AWS는 이같은 투자로 조지아의 데이터센터에서 AI의 미래를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번 최첨단 AI 인프라 구축이 조지아의 혁신 허브로서의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투자로 데이터센터 엔지니어, 네트워크 전문가, 엔지니어링 운영 관리자, 보안 전문가 등 수백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AWS는 기대하고 있다.

AWS는 2010년부터 조지아에 185억 달러를 투자, 주 경제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AWS와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전 세계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 ‘빅3’를 비롯한 빅테크 기업들의 데이터센터와 첨단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도 최근 2025회계연도(지난해 7월~올해 6월) AI 데이터센터에 80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MS는 직전 회계연도에도 AI 인프라를 포함한 설비투자에만 500억 달러 넘는 돈을 썼다.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은 'AI 붐'으로 급성장하는 분야다. AWS의 경우 작년 3분기 매출이 1년 전보다 11% 증가한 153억 달러를 기록했고 영업이익률은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38%에 달했다.

작년 3분기 아마존은 전년 동기 대비 80% 이상 증가한 226억 달러를 자본지출로 투입했는데 대부분 AI 칩과 데이터센터 등에 지출했다.

한편 AWS는 이날 별도 발표에서 태국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한 클라우드 인프라 리전을 출범시킬 계획이라고 전했다. AWS는 태국에 50억 달러를 투자해 데이터 센터를 개발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장중 3000선 돌파…3년 6개월만
  • 제2차 세계대전에 등장했던 ‘강철비’…이란이 쏜 집속탄이란?
  • ‘내란 특검보’ 김형수·박억수·박지영·박태호·이윤제·장우성
  • [날씨] 전국 장마 시작…강풍 동반해 시간당 최대 50㎜ 쏟아져
  • 티몬, 오늘 운명의 날…오아시스 품에 안기나
  • ‘서울대 10개 만들기’ 입시 병목 해법 되나…“재정마련 시급”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⑩·끝]
  • '나솔사계' 17기 옥순, '나솔'서 최종 선택 안한 이유⋯"확신 드는 사람 없어"
  • 비트코인, 미 증시 휴장에 숨 고르기…중동 확전 예의 주시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14:0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068,000
    • -1.11%
    • 이더리움
    • 3,462,000
    • -1.14%
    • 비트코인 캐시
    • 677,000
    • +5.78%
    • 리플
    • 2,967
    • -1.33%
    • 솔라나
    • 199,800
    • -1.62%
    • 에이다
    • 816
    • -2.86%
    • 트론
    • 378
    • -0.79%
    • 스텔라루멘
    • 341
    • -2.5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590
    • +2.56%
    • 체인링크
    • 17,830
    • -2.73%
    • 샌드박스
    • 348
    • -1.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