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영주 회장 “홍콩 시니어 자산가 특화 서비스 선보일 것”

입력 2024-11-18 11: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홍콩 무역발전국 회장 미팅…ESGㆍAI 등 양국 금융 협력 강화 방안 논의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13일 '금융권 공동 홍콩 IR'에 이어 14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홍콩에서 부동산 개발 및 투자업, 호텔업 등을 영위하는 라이선 그룹(Lai Sun Group)의 회장직을 겸직 중인 피터 람 홍콩 무역발전국 회장과 조찬 미팅을 가졌다. 사진 왼쪽부터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피터 람(Peter Lam) 홍콩 무역발전국 회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마가렛 퐁(Margaret Fong) 상임이사가 조찬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하나금융그룹)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13일 '금융권 공동 홍콩 IR'에 이어 14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홍콩에서 부동산 개발 및 투자업, 호텔업 등을 영위하는 라이선 그룹(Lai Sun Group)의 회장직을 겸직 중인 피터 람 홍콩 무역발전국 회장과 조찬 미팅을 가졌다. 사진 왼쪽부터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피터 람(Peter Lam) 홍콩 무역발전국 회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마가렛 퐁(Margaret Fong) 상임이사가 조찬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하나금융그룹)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홍콩 재계와의 동반성장을 위한 협력을 확대하고 현지 시니어 자산가를 위한 특화 금융서비스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18일 하나금융에 따르면 함 회장은 이달 13일 '금융권 공동 홍콩 IR'에 이어 14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피터 람 홍콩 무역발전국 회장과 조찬 미팅을 했다. 람 회장은 홍콩에서 부동산 개발 및 투자업, 호텔업 등을 영위하는 라이선 그룹(Lai Sun Group)의 회장직을 겸직 중이다.

이번 조찬은 홍콩과 한국 간의 경제 및 금융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나누고자 마련됐다. 홍콩 재계와의 협업 비즈니스 확장을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홍콩의 금융환경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람 회장은 “한국과 홍콩은 경제적ㆍ인적ㆍ문화적 교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도 협력할 기회가 무궁무진하다”며 “한국이 선도 중인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핀테크,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이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국제 금융의 중심지이자 중요한 벤치마킹 대상인 홍콩과 한국의 다양한 금융 협력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규제 혁신을 과감히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함 회장은 “앞으로도 홍콩 재계와의 동반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대한민국 대표 금융사로서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 했다.

이날 고령화에 관한 논의도 있었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홍콩에서도 최근 고령화가 가파르게 진행되면서 △재테크 △연금 △보험 △신탁 △헬스케어 △주거 등 시니어들의 주요 관심사가 논의 주제로 다뤄졌다.

람 회장은 “심각한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는 홍콩에서도 시니어 자산가들을 위한 금융서비스와 상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하나금융이 홍콩 내 시니어들을 위한 다양한 금융서비스를 지원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함 회장은 지난달 그룹의 미래 핵심전략으로 론칭한 시니어 특화 브랜드 ‘하나 더 넥스트’를 소개했다. 그는 “은행, 증권, 보험 등 핵심 계열사가 보유한 금융 노하우를 바탕으로 시니어 세대의 라이프사이클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며 “홍콩에도 글로벌 프라이빗뱅커(PB)를 전진 배치해 한국 교민뿐만 아니라 홍콩의 시니어 자산가를 위한 특화 금융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짝퉁 천국 아니었어?"…Z세대에게 통한 중국의 '새 얼굴' [솔드아웃]
  • 與 새 원내사령탑에 '3선 김병기'…"李성공 뒷받침"
  • [종합] 관세 어려움 토로한 최태원 회장…이재용 회장은 “李 자서전 읽어봤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외교부, 이스라엘 이란 공습에 “우리 국민 피해 접수 없어”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올 여름 보양식은 '이거' 어떠세요…민물의 왕 '가물치' [레저로그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339,000
    • -0.58%
    • 이더리움
    • 3,530,000
    • -4.9%
    • 비트코인 캐시
    • 604,500
    • +1.94%
    • 리플
    • 2,965
    • -2.69%
    • 솔라나
    • 202,800
    • -5.1%
    • 에이다
    • 884
    • -4.33%
    • 트론
    • 376
    • +0.8%
    • 스텔라루멘
    • 360
    • -3.4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710
    • -0.07%
    • 체인링크
    • 18,330
    • -6.19%
    • 샌드박스
    • 367
    • -3.6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