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국제유가, 산유국 공급 부담에 급락 …WTI 2.90%↓

입력 2024-09-27 07:3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3D 프린팅된 오일 펌프 잭이 석유수출국기구(OPEC) 로고 앞에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3D 프린팅된 오일 펌프 잭이 석유수출국기구(OPEC) 로고 앞에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국제유가가 26일(현지시간) 산유국 공급 부담에 급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1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보다 2.02달러(2.90%) 하락한 배럴당 67.6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ICE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11월물 가격은 전장 대비 1.86달러(2.53%) 밀린 배럴당 71.60달러에 장을 끝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시장 점유율을 되찾기 위해 12월부터 증산에 나설 것이라는 계획이 전해지면서 유가가 급락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사우디아라비아가 12월부터 산유량을 늘릴 준비가 돼 있다고 보도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OPEC 산유국으로 구성된 OPEC 플러스(+)는 자발적 감산을 이어오고 있다. 당초 OPEC+는 10월 초부로 생산량 감축 조치를 해제할 예정이었지만 해제 시기를 12월까지로 두 달 연장했다.

하지만 사우디는 12월부터는 생산량 감축을 추가 연장하지 않겠다고 결정한 셈이다. 사우디는 재정 수지 균형을 맞추기 위해 유가를 배럴당 100달러 가까이 끌어올리려는 목적이 있었지만 이 또한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미국 등의 생산이 확대된 상황에서 OPEC+의 감산으로 가격을 통제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감산 목표를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토니 시카모어 IG 시장 분석가는 “리비아가 석유 공급을 재개할 가능성이 커지고 사우디아라비아까지 공급을 늘려 유가 목표치를 낮출 것이라는 소식으로 인해 원유 시장의 기세가 약화했다”고 분석했다.

국제 금값은 7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 중심인 12월물 금은 전장보다 10.2달러(0.4%) 오른 온스당 2694.9달러에 폐장했다. 미국 금리 인하 관측이 매수세로 이어지며 한때 2708.7달러로 중심 선물월물로서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064,000
    • +0.39%
    • 이더리움
    • 3,628,000
    • +3.21%
    • 비트코인 캐시
    • 693,500
    • +1.46%
    • 리플
    • 3,239
    • +3.61%
    • 솔라나
    • 210,000
    • +1.3%
    • 에이다
    • 837
    • +4.89%
    • 트론
    • 392
    • +0%
    • 스텔라루멘
    • 394
    • +13.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180
    • +1.82%
    • 체인링크
    • 19,220
    • +4.17%
    • 샌드박스
    • 352
    • +5.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