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FX] 달러화, 미 빅컷 기대 대폭 후퇴속 혼조…엔ㆍ달러 환율 연중 최저치

입력 2024-09-12 08: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일본은행 심의위원, 추가 금리인상 시사 발언에 엔화 강세

▲미국 달러화 지폐들이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달러화 지폐들이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미 달러화는 11일(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 주 빅컷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대폭 후퇴하자 전반적으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달러화 지수)는 전날보다 0.05% 오른 101.68로 보합세를 나타냈다. 달러화는 스위스 프랑ㆍ파운드ㆍ엔에 비해 약세를 보였지만, 유로에 비해서는 강세를 띠었다.

이날 미 노동부가 발표한 전품목(헤드라인)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예상에 부합했으나 변동성이 큰 항목인 식품ㆍ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가 예상보다 높게 나오면서 연준이 17~18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빅컷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크게 약화됐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 기준금리가 0.25%p 인하될 확률을 85%로 반영했다. 전날 마감 무렵의 71%에서 14%p 확대됐다. 반면 0.50%p 인하 확률은 15%까지 축소됐다.

엔ㆍ달러 환율은 0.91% 떨어진 141.40엔으로 집계됐다. 특히 장 초반 140.71엔까지 하락해 엔화 가치가 지난해 12월 말 이후 최고치를 찍었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의 나카가와 준코 심의위원이 이날 혼슈 동북부 아키타시에서 열린 경제·금융 간담회에서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하는 발언을 한 것이 엔화에 절상 압력을 가했다는 분석이다. 나카가와 위원은 경제·물가가 안정적으로 오를 경우를 가정해 “금융완화 정도를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전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의 첫 TV 토론회가 있었다. 토론을 지켜본 등록 유권자의 과반 이상이 해리스 부통령이 더 잘했다고 여겼다. 투자자들은 트럼프가 집권할 경우 달러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한다. 그가 제안한 수입 관세가 달러화 가치를 떠받치고, 더 많은 재정 지출 증가가 이자율을 지지할 것으로 보고 있다.

UBS 뉴욕 외환 전략가 바실리 세레브리아코프는 “인플레이션 데이터상 연준이 금리를 0.25%p 인하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미국 달러는 9월에 강세를 나타낸 후 올해 말과 2025년에 절하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 단독 현대차 정연추, 성과급 퇴직금 적용 소송 추진⋯승소 시 인당 최대 1억 환급
  • "청년적금" "반값월세" "여가부 폐지"…청년 표심 어디로?
  • 절판된 책 구하고 싶다면…‘우편 복사 서비스’로 해결 [경제한줌]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리플은 왜 서클을 탐내나…올해 '신의 한 수' 될까 [블록렌즈]
  • 임신 소식 앞에 미안함부터 꺼낸 임라라, 왜 난임부부를 떠올렸을까? [해시태그]
  • 이세돌 '데블스 플랜'→왕의 귀환 '크라임씬'…두뇌 서바이벌 판도, 어떻게 더 커졌나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337,000
    • +1.68%
    • 이더리움
    • 3,670,000
    • +5.49%
    • 비트코인 캐시
    • 573,000
    • -0.69%
    • 리플
    • 3,598
    • +0.03%
    • 솔라나
    • 250,200
    • +3.22%
    • 에이다
    • 1,154
    • +1.5%
    • 이오스
    • 1,246
    • -0.56%
    • 트론
    • 380
    • -1.55%
    • 스텔라루멘
    • 440
    • -1.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6,500
    • +1.07%
    • 체인링크
    • 24,100
    • +3.17%
    • 샌드박스
    • 506
    • +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