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서는 年 2% 물가…관건은 농산물값 안정화

입력 2024-07-07 09:35 수정 2024-07-07 15: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 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84(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2.4% 올랐다. 지난해 7월(2.4%)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밥상물가와 직결되는 신선식품 지수는 작년보다 11.7% 오르며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6.5% 상승했으며 품목별로는 사과 63.1%, 배 139.6%, 토마토 18.0% 등으로 과실류의 가격 강세는 계속됐다.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 달 연속 2%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84(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2.4% 올랐다. 지난해 7월(2.4%)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밥상물가와 직결되는 신선식품 지수는 작년보다 11.7% 오르며 높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6.5% 상승했으며 품목별로는 사과 63.1%, 배 139.6%, 토마토 18.0% 등으로 과실류의 가격 강세는 계속됐다.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조현호 기자 hyunho@

'고물가 주범' 사과·배 내달부터 가격 안정세 전망
3년 만에 연 2%대 물가 눈앞…금리 인하 '청신호'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대비)이 2.8%를 기록하면서 정부가 목표로 한 상반기 2%대 물가 안착에 성공했다.

고물가 주요인인 사과, 배 등 농산물 가격이 하반기엔 안정세로 접어들면 올해 연간 물가가 2%(물가 안정 목표치)에 바짝 다가설 것으로 보인다.

7일 통계청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올해 1~6월 누계 소비자물가(평균)는 전년보다 2.8% 상승했다.

올해 6월 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7월(2.4%)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2.4%를 기록한 것이 상반기 물가 상승률의 하방 요인으로 작용했다.

정부로서는 올해 상반기 2%대 물가 안착에 성공했다. 앞서 정부는 올해 1월 초 2024년 경제정책방향 발표를 통해 "올해 상반기 2%대 물가의 조기 안착에 역점을 두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하반기 물가 흐름은 상반기보다 더 안정화를 보일 것이란 분석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추가 충격이 없다면 하반기엔 물가가 2% 초중반까지 떨어지면서 안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건은 사과, 배 등 농산물 가격 안정화다. 지난달 과일 가격은 전년보다 30.8%나 올랐다. 특히 사과(63.1%)와 배(139.6%) 가격 급등세가 여전했다. 이로 인해 농산물 가격은 13.3% 올랐다.

올해 7월 태풍이나 폭우 등 날씨에 따른 농산물 가격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다만 정부는 작년 같은 상황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작년과 같은 봄철 가뭄 및 폭우에 따른 농산물 작황 피해가 크게 없는 상황"이라며 "또한 선제적 비축 및 할당관세 적용 확대 등 농산물 수급 안정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욱이 농산물 물가 급등의 주범인 사과·배 가격도 하반기부터 안정세를 되찾을 것으로 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올해 사과와 배 생육 상황이 양호해 내달을 기점으로 현재와 같은 가격 상승은 없을 것"이라며 "또한 이달 3일 기준 과수화상병과 흑성병 발생 면적은 전체 면적의 0.15% 수준으로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히려 유통업계에서는 최근 들어 과일류 소비가 줄고 있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공급이 충분한 상황에서 소비가 줄면 물가는 하락할 수밖에 없다.

이대로 농산물 가격이 안정화되면 올해 연간 물가 상승률이 2021년(2.5%) 이후 3년 만에 2%대를 무난하게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2020년 0.5%에 불과했던 물가 상승률은 2021년 2.5%, 2022년 5.1%, 2023년 3.5%로 고물가 흐름을 지속했다.

농산물을 중심으로 하반기 물가 안정세가 가시화하면 통화당국의 금리 인하 결정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시장의 자금조달 여건이 제고돼 소비, 투자 등 내수 경기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파티, 베이비 오일, 그리고 저스틴 비버…미국 뒤덮은 '밈'의 실체 [이슈크래커]
  • "시발점 욕 아닌가요?"…심각한 학생들 문해력 [데이터클립]
  • 의료AI 250조원 시장 열린다…‘휴먼 에러’ 막아 정확성↑
  • 미운 이웃 중국의 민폐 행각…흑백요리사도 딴지 [해시태그]
  • 지방 분양 시장, '알짜 단지' 쏠린다…양극화 심화
  • 삼성전자 3분기 실적 부진…고개 숙인 전영현 “위기를 극복하겠다”
  • ‘위고비’ 마침내 국내 상륙…‘기적의 비만약’ 기대 충족할까
  • 린가드 국감 등장할까?…상암 잔디 참고인 이름 올렸다
  • 오늘의 상승종목

  • 10.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4,235,000
    • -1.18%
    • 이더리움
    • 3,272,000
    • -1.68%
    • 비트코인 캐시
    • 437,600
    • -0.61%
    • 리플
    • 714
    • -1.38%
    • 솔라나
    • 193,300
    • -2.77%
    • 에이다
    • 474
    • -2.07%
    • 이오스
    • 636
    • -1.09%
    • 트론
    • 211
    • +0.96%
    • 스텔라루멘
    • 123
    • -1.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200
    • -2.55%
    • 체인링크
    • 14,880
    • -3.5%
    • 샌드박스
    • 342
    • -1.7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