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AI 검색, 오류 속출…챗GPT와 경쟁 ‘빨간불’

입력 2024-05-26 15: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오바마는 무슬림ㆍ돌 먹으면 건강에 좋아” 등 ‘AI 개요’ 오류투성이
소비자 중심 생성형 AI 서비스 출시 압박에 무리수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1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서 연례 개발자 회의 ‘구글 I/O 2024’에서 새 인공지능(AI) 검색 기능을 소개하고 있다. 마운티뷰(미국)/AP연합뉴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1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서 연례 개발자 회의 ‘구글 I/O 2024’에서 새 인공지능(AI) 검색 기능을 소개하고 있다. 마운티뷰(미국)/AP연합뉴스

구글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를 탑재한 신규 검색엔진에서 오류가 속출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구글이 14일 연례 개발자 회의에서 발표한 새로운 검색 기능인 ‘AI 개요’는 “신체 건강에 중요한 미네랄을 함유한 올바른 돌을 먹으면 건강에 좋을 수 있다”고 답했다. 또 “피자 소스에 접착제를 섞으면 부착력을 높여 치즈가 미끄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권장한다”고 엉터리 발언을 하기도 했다.

“미국이 역대 무슬림 대통령을 몇 명이나 배출했느냐”는 질문에는 “미국은 무슬림 대통령인 버락 후세인 오바마가 한 명 있다”고 틀린 응답을 했다.

AI 개요는 제미나이를 이용해 검색 결과를 빠르게 요약하고 관련 링크를 제공받는 기능이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내 모든 이용자에게 완전히 개편된 경험인 AI 개요를 시작한다는 것을 발표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검색엔진에 생성형 AI를 탑재한 것은 구글 검색 등장 이후 25년 만의 가장 큰 변화로 꼽히며 기대가 고조됐다. 이는 오픈AI의 챗GPT와의 생성형 AI 경쟁에서 구글이 밀린다는 비난 속에서 피차이 CEO가 역전을 노리고 제시한 회심의 카드였다.

하지만 잇따른 오류로 추월은커녕 구글 AI 기술력 자체에 대한 의심마저 들고 있다는 지적이다. 구글이 챗GPT를 따라잡기 위해서는 소비자 중심의 생성형 AI 출시를 가속해야 한다는 압박으로 설익은 서비스를 내놓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도 그럴 것이 구글 AI는 과거에도 여러차례 치명적인 결함을 노출했다. 2월에는 제미나이에 이미지 생성 기능을 추가했지만, 20여일 만에 서비스를 중단했다. 미국 건국자나 아인슈타인 등 역사적 인물을 유색인종으로 묘사하고, 독일 나치를 아시아 인종으로 생성했기 때문이다.

작년 2월에는 AI 모델 ‘바드’를 시연하면서 태양계 밖의 행성을 처음 찍는 데 사용된 망원경을 유럽남방천문대의 초거대 망원경(VLT)이 아닌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이라고 오답을 내놓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596,000
    • -1.79%
    • 이더리움
    • 4,956,000
    • -1.78%
    • 비트코인 캐시
    • 582,000
    • -4.75%
    • 리플
    • 702
    • -0.28%
    • 솔라나
    • 202,200
    • -1.65%
    • 에이다
    • 570
    • -3.06%
    • 이오스
    • 875
    • -6.42%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7
    • -2.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6,600
    • -4.93%
    • 체인링크
    • 20,140
    • -4.91%
    • 샌드박스
    • 493
    • -9.3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