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점포·협력사 직원까지 심폐소생술 교육 [안전 경영]

입력 2024-03-26 04: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마트는 지난해 12월 본사 신임 팀장을 대상으로 CPR 교육을 실시했다. (사진제공=이마트)
▲이마트는 지난해 12월 본사 신임 팀장을 대상으로 CPR 교육을 실시했다. (사진제공=이마트)

이마트가 고객, 직원 모두가 안심하고 근무 및 쇼핑할 수 있도록 안전한 매장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이마트에 따르면, 이마트 본사는 지난해 12월 관리 감독자(팀장) 대상 심폐소생술 및 하임리히법 교육·훈련을 실시했다. 이는 ‘고객과 직원의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원칙하에 안전한 쇼핑, 근무 환경 구축을 위해 마련한 교육으로, 급성 심정지 발생 등 응급상황 시 대처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최근 인구 고령화와 맞물려 급성 심정지 환자가 증가하면서 심폐소생술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이마트는 총 161개 사업장에 261개의 자동심장충격기를 배치했다. 특히 이마트 점포 직원뿐 아니라 협력사원까지 심폐소생술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마트는 올해도 안전보건관리 로드맵에 따라 전 직원에게 연 2회 이상 위급환자 대응법, 구급장비 사용법을 교육하고 있으며, 심폐소생술 교육의 경우 인체 모형과 유사한 실습도구를 점포별로 비치하고 자체 훈련을 시행할 계획이다.

또한 이마트는 사업장 별로 지역 관할 경찰과 핫라인을 구축하는 등 비상 연락체계를 강화해 사건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주요 출입구에 보안근무자를 배치하고 매장 순찰도 강화하고 있다.

순찰 근무자는 안전을 위해 방검복 착용과 삼단봉·무전기 등 소지하고 신속한 현장 대응을 위해 거동수상자에 대한 실시간 감시 등 CCTV 상황실 모니터링도 강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전 직원 대상 강력 범죄 대응 매뉴얼을 공지하고 본사와 사업장간 실시간 비상 보고체계를 강화해 안전한 매장을 만들기 위해 만전을 기하고 있다. 매장에서 근무하는 임직원의 안전을 위해서도 안전 수칙을 마련해 임직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이마트는 고객과 직원의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원칙하에 전직원에게 안전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이마트는 안전 위기상황에 대한 대응능력을 향상시켜, 안전한 이마트 만들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0,499,000
    • +1.45%
    • 이더리움
    • 3,730,000
    • +4.98%
    • 비트코인 캐시
    • 693,000
    • +1.69%
    • 리플
    • 3,272
    • +4.27%
    • 솔라나
    • 212,900
    • +3.75%
    • 에이다
    • 845
    • +5.23%
    • 트론
    • 394
    • +0.51%
    • 스텔라루멘
    • 390
    • +10.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510
    • +1.8%
    • 체인링크
    • 19,380
    • +2.76%
    • 샌드박스
    • 365
    • +7.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