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논문 구독 예산 삭감...“지방대 타격 더 클 것”

입력 2023-09-27 10: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학라이선스 예산 삭감 철회해야...구독료 지원 필요”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지방대와 수도권 대학이 구독하는 학술 데이터베이스(DB)의 평균 개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내년 예산안에서 대학의 학술DB 구독 지원 예산을 삭감한 것으로 밝혀져 지방대의 연구 기초체력이 더욱 약화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서동용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대학에 학술DB 구독료를 지원하는 ‘대학 라이선스 사업’의 예산이 올해 228억 원에서 내년 222억 원으로 6억 원 삭감됐다. 사업 예산이 깎인 건 올해가 처음이다. 예산 삭감에 따라 대학이 활용할 수 있는 학술DB 수는 올해 52~53개에서 내년 49~ 50개로 줄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 별로 대학의 학술 DB 구독 종수를 비교했을 때 서울 등 지역과 지방의 편차는 이미 컸다. 지난해 기준으로 4년제 대학(5개 과학기술원 제외)의 학술DB 구독 종수를 지역별로 평균을 냈을 때 세종(9종)·제주(15종)·전남(16종)·광주(17종)·충북(17종) 지역 대학이 특히 구독 종수가 적었다. 서울(31종)·인천(35종)·울산(55종) 지역 대학은 전국 평균(23종)을 웃돌았다.

대학 별로 비교해봐도 수도권 대학들의 학술DB 구독 종수가 훨씬 많았다. 4년제 대학교 중 학술DB 구독 종수가 많은 상위 5개 대학은 고려대(126개)·가톨릭대(96개)·서울대(90개)·연세대(74개)·경희대(68개)였다. 모두 서울과 경기 소재 대학이다. 이외에도 학술DB 구독 종수 상위 20개 대학 중 11개 대학이 수도권에 위치해 있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연구역량의 차이가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방대 논문 구독료 부담 더 커질 것”

대학이 부담하는 전체 자료구입비 자체는 2012년 2487억 원에서 2022년 2482억 원으로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학술DB와 같은 전자자료 구입비는 1341억 원에서 1783억 원으로 25% 가량 증가했다. 전체 자료구입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53.9%에서 71.8%로 커졌다.

이 같은 학술DB 구독료 부담은 재정 여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방대에 더 악영향을 미친다. 그나마 국고에 의존해온 지방대학의 전자자료 구입 부담이 더욱 크게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서 의원은 “기초연구와 지방대학을 동시에 죽이는 대학라이선스 예산 삭감 철회를 촉구한다”며 “대학 연구역량의 공공성과 국가책임을 확대하기 위해 대학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저널패키지에 국고를 제대로 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HBM 소부장 국가전략기술로…R&D 세제지원 확대[세법 시행령]
  • 예능도 모자이크 한 '그곳'…생중계된 한남동 관저, 괜찮을까요? [이슈크래커]
  • 윤석열 구금 장소는 서울구치소…거쳐 간 유명인 면면은 [해시태그]
  • "진짜 천재 맞네"…얼굴 천재 차은우가 사는 '빌폴라리스'는 [왁자집껄]
  • ‘실업급여’, 제대로 받기 위해 알아둬야 할 것은? [경제한줌]
  • “내려야 하는데” 치열했던 동결 결정…환율·정치·美연준 ‘불확실성’에 막혔다 [종합]
  • "혁신의 K-DNA로 승부해라" [트럼프 2기, K제조업 다시 뛴다]
  • BYD 이어 지커·샤오미·샤오펑…중국 車 몰려온다 [레드테크 전기차 공습]
  • 오늘의 상승종목

  • 01.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024,000
    • -0.86%
    • 이더리움
    • 4,875,000
    • -0.91%
    • 비트코인 캐시
    • 671,500
    • +1.9%
    • 리플
    • 4,839
    • +11.04%
    • 솔라나
    • 309,600
    • +7.02%
    • 에이다
    • 1,596
    • +1.98%
    • 이오스
    • 1,289
    • +3.95%
    • 트론
    • 350
    • +2.64%
    • 스텔라루멘
    • 728
    • +2.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2,900
    • +0.55%
    • 체인링크
    • 33,800
    • +6.29%
    • 샌드박스
    • 906
    • +2.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