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의 경고 "연준 7% 금리…글로벌 시장 못 버틴다"

입력 2023-09-26 16: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다이먼 CEO, 타임스 오브 인디아 인터뷰 통해 공언
“3%→5% 인상보다 5%→7%가 더 고통”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최고경영자(CEO)가 향후 금리상승 가능성을 열어둔 연준의 결정에 우려를 나타냈다. 
 (로이터/연합뉴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최고경영자(CEO)가 향후 금리상승 가능성을 열어둔 연준의 결정에 우려를 나타냈다. (로이터/연합뉴스)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추가 금리상승 가능성을 열어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결정에 우려를 나타냈다.

다이먼 회장은 “경기불황과 물가상승이 동시에 시작되는 스태그플레이션과 함께 기준금리 7%대에 맞서는 시나리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2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다이먼 회장은 타임스오브인디아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말하고 “만일 그들이 더 적은 양(통화)과 더 높은 비율(금리)을 가지려고 한다면 시스템에 스트레스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다이먼 회장은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시기에도 일정 부분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나 현재의 금리 상승 기조와는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자신의 발언과 관련해 "3%에서 5%로 금리가 상승하는 것보다 5%와 7%의 차이가 경제에 더 고통스러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의 발언은 연준이 기준금리를 22년 만에 최고 수준인 연 5.25~5.5%로 끌어올린 5.25%포인트(p) 인상 이후 긴축 사이클이 끝나가고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과 대비된다.

미국 정책당국은 내년부터 통화시장이 인하 가격을 책정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더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신호를 보냈다. 사실상 금리 인상과 맞먹는 동결이었다.

기준금리가 7%까지 올라간다면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는 지속해서 나온다. 이미 경제전문가들은 향후 12개월간 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을 60%로 제시하기도 했다. 이는 블룸버그 이코노미스트가 이르면 올해 안에 경기침체가 올 것으로 전망한 것보다 상대적으로 낙관적이다.

다이먼 회장은 "아직 글로벌 시장이 7% 금리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정후, 양키스냐 자이언츠냐…MLB 향한 한국 선수들의 도전 [이슈크래커]
  • Z세대가 원하는 회식은?…딱 1시간만! [그래픽뉴스]
  • 연말은 와인?…찬바람과 함께 홀짝이는 막걸리의 맛 [맛보니]
  • 서울 빈대 44%는 고시원서 나왔다…'집중관리'
  • 대상 트로피에 이름 새겼다?…‘기안84’, 이번에도 대박 [요즘, 이거]
  • 이강인의 PSG, 구단 역사상 첫 ‘한글 유니폼’…음바페도 입는다
  • ‘남산의 부장들’→‘서울의 봄’→‘화려한 휴가’…영화로 보는 근현대사 [이슈크래커]
  • ‘반도체 클러스터’ 올라탄 용인·평택·동탄, 집값 전망도 ‘후끈’
  • 오늘의 상승종목

  • 12.0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51,707,000
    • +0.54%
    • 이더리움
    • 2,802,000
    • +0.61%
    • 비트코인 캐시
    • 301,300
    • +0.6%
    • 리플
    • 819
    • +0.61%
    • 솔라나
    • 82,550
    • +2.61%
    • 에이다
    • 517
    • +1.37%
    • 이오스
    • 924
    • +1.2%
    • 트론
    • 138
    • +0%
    • 스텔라루멘
    • 160
    • +0.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000
    • +0.95%
    • 체인링크
    • 21,070
    • +6.2%
    • 샌드박스
    • 562
    • +1.8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