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미국 ‘폐배터리 재활용 전처리 공장’ 건설…“세계 시장 선점 본격화”

입력 2023-09-26 08: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SK에코플랜트와 자회사 테스(TES)가 미국 폐배터리 재활용 혁신기업 ‘어센드 엘리먼츠’와 폐배터리 재활용 합작법인(JV)을 설립하고 전처리 공장 건설에 착수했다고 26일 밝혔다.

SK에코플랜트∙테스∙어센드 엘리먼츠 3사는 이날 서울 종로구 SK에코플랜트 본사에서 ‘미국 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위한 합작투자 계약식(JVA)’을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과 마이클 오크론리 어센드 엘리먼츠 CEO 등 관계자 10여 명이 참석했다. 합작법인은 미국 내 첫 한ㆍ미 합작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으로, 지분율은 SK에코플랜트 64%, 테스 11%, 어센드 엘리먼츠 25%다.

새로 건설되는 전처리 공장에서는 전기차 배터리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인 스크랩과 수거된 폐배터리 등을 물리적으로 안전하게 분해ㆍ파쇄하고 배터리 원료 추출 전 단계인 블랙매스까지 추출할 예정이다.

이 공장은 미국 켄터키주 홉킨스빌에 9290㎡(약 2810평) 규모로 조성된다. 총투자비 약 6580만 달러(약 883억 원)가 투입되며, 연 1만2000톤의 블랙매스 생산이 가능하다. 11월 착공에 돌입해 2025년 1월 가동할 계획이다.

인근에는 어센드 엘리먼츠가 미국 정부로부터 4억8000만 달러의 보조금을 받아 연간 75만 대의 전기차에 공급할 수 있는 규모의 북미 최초 양극재용 전구체 공장을 건설 중이다. 3사 협력을 통한 폐배터리 재활용 전ㆍ후처리가 모두 가능해짐에 따라 강력한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이번 합작법인 설립 및 전처리 공장 건설은 글로벌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계 최대 시장으로 불리는 미국에서 전기차 배터리 밸류체인의 기반이 될 전처리 설비를 확보함으로써 배터리 제조사가 밀집해 있는 미국 ‘배터리 벨트’를 선점할 수 있게 됐다. 또 협업을 통해 미국 내 어센드 엘리먼츠의 시장 지위를 이용한 사업 확장은 물론 북미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힐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이번 합작법인 설립과 공장 건설까지 더해 폐배터리 분야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폐배터리 시장 선점을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남편 연봉 6000만 원, 키 178cm였으면”
  • “조상님께 감사해라”…중국이 ‘자원’을 무기로 휘두를 수 있는 이유
  • ‘불편’의 콘텐츠화... ‘나락퀴즈쇼’의 선풍적 인기 요인은? [요즘, 이거]
  • [인터뷰] 수능 유일 만점자 유리아 양…“전교 1등 해본 적 없어”
  • “공짜 아니었나요?”…돈 들어온다는 은행 달력 구하기 ‘특명’ [요즘, 이거]
  • “단물·쓴물 다 빠진 줄 알았는데”…아직도 트로트가 통한다? [이슈크래커]
  • 일본 성인배우, 한국서 예능상 수상…비난 쏟아져
  • 의사가 경고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증상 나타나면 위험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12.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60,164,000
    • -0.04%
    • 이더리움
    • 3,224,000
    • +0.12%
    • 비트코인 캐시
    • 348,900
    • +0.32%
    • 리플
    • 913
    • -2.14%
    • 솔라나
    • 100,300
    • -0.69%
    • 에이다
    • 820
    • -0.12%
    • 이오스
    • 1,165
    • +3.56%
    • 트론
    • 147
    • +0%
    • 스텔라루멘
    • 185
    • +0.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71,600
    • -1.78%
    • 체인링크
    • 22,410
    • -3.41%
    • 샌드박스
    • 747
    • +7.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