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ㆍ기아 역시 일찌감치 LED 기술을 활용한 ‘라이팅 아키텍처’를 선보였다. 정수는 8세대 쏘나타에서 정점을 찍었고, 바로 이전인 6세대 부분변경 ‘그랜저’는 또 다른 방향성까지 제시했다.
먼저 쏘나타가 LED 빛으로 새로운 형상을 뽑아냈다면, 6세대 부분변경 그랜저는 LED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새 모습을 디자인했다.
먼저 쏘나타의 주간주행등은 전조등에서 시작해 엔진 보닛을 타고 올라가다 점진적으로 사라진다. 주간주행등은 반드시 전조등 주변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편견을 무너트린 사례다.
관련 뉴스
이제 주간주행등은 범퍼와 그릴, 펜더를 파고들면서 새 디자인을 완성하고 있다. 모두 LED 기술의 진화를 등에 업은, 이른바 ‘심리스’ 디자인이다.
특히 8세대 쏘나타의 심리스 타입 주간주행등은 가장 진보한 디자인으로 평가받는다. 멀리서도 단박에 정체성을 알아챌 수 있을 만큼 독보적인 존재감을 담고 있는 덕이다.
쏘나타와 그랜저가 LED 램프로 보닛과 범퍼ㆍ그릴과 램프의 영역을 허물었다면 투싼과 팰리세이드 등 SUV 제품군은 LED로 디자인 고정관념을 넘어선 대표 사례들이다.
특히 투싼은 2018년 선보인 콘셉트카 르필루즈의 전면 그릴을 고스란히 이어받았다. 이 디자인 속에 날렵한 주간주행등을 심어 새 디자인을 뽑아냈다. 불빛만 보고도 투싼인지 아닌지를 가늠할 수 있을 정도다.
지난해 부분변경으로 거듭난 팰리세이드 역시 프런트 그릴을 마음껏 키웠다. 그리고 그 안에 LED 방향지시등을 심었다. 전조등은 위에 자리하고 방향지시등은 그 옆에 붙어있어야 한다는 편견을 깨트린 사례다.
고정관념을 벗어나니 독특하고 세련된 디자인이 우리에게 성큼 다가온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