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 인사이드] 고정관념을 넘어선 새 디자인이 쏟아진다

입력 2023-09-13 17: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LED 램프가 하나의 디자인으로 거듭난 사례다. 이른바 '라이팅 아키텍처'다. 사진은 현대차 투싼의 주간주행등 모습.  (사진제공=현대차)
▲LED 램프가 하나의 디자인으로 거듭난 사례다. 이른바 '라이팅 아키텍처'다. 사진은 현대차 투싼의 주간주행등 모습. (사진제공=현대차)

현대차ㆍ기아 역시 일찌감치 LED 기술을 활용한 ‘라이팅 아키텍처’를 선보였다. 정수는 8세대 쏘나타에서 정점을 찍었고, 바로 이전인 6세대 부분변경 ‘그랜저’는 또 다른 방향성까지 제시했다.

먼저 쏘나타가 LED 빛으로 새로운 형상을 뽑아냈다면, 6세대 부분변경 그랜저는 LED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새 모습을 디자인했다.

먼저 쏘나타의 주간주행등은 전조등에서 시작해 엔진 보닛을 타고 올라가다 점진적으로 사라진다. 주간주행등은 반드시 전조등 주변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는 편견을 무너트린 사례다.

이제 주간주행등은 범퍼와 그릴, 펜더를 파고들면서 새 디자인을 완성하고 있다. 모두 LED 기술의 진화를 등에 업은, 이른바 ‘심리스’ 디자인이다.

특히 8세대 쏘나타의 심리스 타입 주간주행등은 가장 진보한 디자인으로 평가받는다. 멀리서도 단박에 정체성을 알아챌 수 있을 만큼 독보적인 존재감을 담고 있는 덕이다.

쏘나타와 그랜저가 LED 램프로 보닛과 범퍼ㆍ그릴과 램프의 영역을 허물었다면 투싼과 팰리세이드 등 SUV 제품군은 LED로 디자인 고정관념을 넘어선 대표 사례들이다.

특히 투싼은 2018년 선보인 콘셉트카 르필루즈의 전면 그릴을 고스란히 이어받았다. 이 디자인 속에 날렵한 주간주행등을 심어 새 디자인을 뽑아냈다. 불빛만 보고도 투싼인지 아닌지를 가늠할 수 있을 정도다.

지난해 부분변경으로 거듭난 팰리세이드 역시 프런트 그릴을 마음껏 키웠다. 그리고 그 안에 LED 방향지시등을 심었다. 전조등은 위에 자리하고 방향지시등은 그 옆에 붙어있어야 한다는 편견을 깨트린 사례다.

고정관념을 벗어나니 독특하고 세련된 디자인이 우리에게 성큼 다가온 셈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재명, 尹에 ‘민생영수회담’ 제안...“정기국회까지 정쟁 멈추자”
  • 민족 대명절 ‘한가위’…우리 동네 쓰레기 배출일 언제일까
  • "이거 쓸만하네" TV 대용으로 손색없는 '삼탠바이미' [써보니]
  • 디에이치·오티에르…선택받은 소수만 허용되는 아파트 '하이엔드 브랜드'
  • 추석 선물 현금 대신 '효도보험' 어떠세요
  • 챗GPT에 물었다…추석 끝내주게 잘 보내는 방법
  • 한국 야구, '4연패' 도전 불씨 살렸다…태국에 17-0 콜드게임승
  • 임영웅, “대학 얘기, 결혼 얘기 금지”…센스 있는 추석 인사에 폭소
  • 오늘의 상승종목

  • 09.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7,589,000
    • -2.04%
    • 이더리움
    • 2,269,000
    • -3.45%
    • 비트코인 캐시
    • 328,000
    • -0.12%
    • 리플
    • 693.1
    • -2.23%
    • 솔라나
    • 33,030
    • +1.01%
    • 에이다
    • 357.6
    • -1.68%
    • 이오스
    • 818
    • +0.26%
    • 트론
    • 119.6
    • -1.48%
    • 스텔라루멘
    • 152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200
    • +11.34%
    • 체인링크
    • 10,480
    • -3.23%
    • 샌드박스
    • 420
    • -3.4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