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총선이면?"…국힘 31.3% 민주 27.4%

입력 2023-08-09 08:51 수정 2023-08-09 09: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직전 조사 대비 與 1.8%p↑ 野 3.2%p↓

내일 당장 총선을 치른다면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오차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9일 나왔다.

여론조사 업체 메트릭스가 연합뉴스·연합뉴스TV 공동 의뢰로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례 여론조사에서 '만일 내일 총선이면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할 것 같은가'라는 질문에 '국민의힘 후보에게 투표할 것 같다'는 응답은 31.3%, '민주당 후보에게 투표할 것 같다'는 응답은 27.4%로 집계됐다.

양당의 격차는 3.9포인트(p)로 오차범위 내다.(95% 신뢰수준·표본오차 ±3.1%p.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지난달 1~2일 직전 조사 대비 국민의힘은 1.8%p 올랐고, 민주당은 3.2%p 내려 순위가 뒤바꼈다.

한편 '지지 정당이 없다'는 응답은 17.8%, '정의당 후보에 투표할 것 같다'는 응답은 2.7%, '기타 정당'의 경우 6.7%로 나타났다. '투표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9.1%, '모름·무응답'은 5.0%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서 여야가 접전을 벌였다. 서울에서는 국민의힘 28.7%, 민주당 27.7%, 인천·경기에서는 국민의힘 30.7%, 민주당 28.8%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30~50대에선 민주당이, 60대 이상에서는 국민의힘이 우세했다. 30대에서는 국민의힘 13.5%, 민주당 28.5%, 40대에서는 국민의힘 20.2%, 민주당 31.5%, 50대에서는 국민의힘 27.6%, 민주당 37.4%였다. 60대 이상에서는 국민의힘 53.3%, 민주당 19.4%로 격차가 컸다.

18~29세에서는 국민의힘 22.9%, 민주당 24.8%로 접전이었다.

내년 4월 예정된 제22대 총선과 관련해선 '정권 견제론'과 '정권 지지론'이 오차범위 내 접전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여당을 견제하기 위해 야당이 다수당이 돼야 한다'에 대한 답변은 44.9%, '국정운영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여당이 다수당이 돼야 한다'에 대한 답변은 40.2%였다. 모름·무응답은 14.9%로 나타났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동남권에만 활성단층 14개”…한국도 ‘지진 위험국’ [이슈크래커]
  •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 실패…대역전극ㆍ이변은 없었다
  • 대상 트로피에 이름 새겼다?…‘기안84’, 이번에도 대박 [요즘, 이거]
  • ‘멍게리즘’ 찰리 멍거가 남긴 투자 조언들 [이슈크래커]
  • ‘남산의 부장들’→‘서울의 봄’→‘화려한 휴가’…영화로 보는 근현대사 [이슈크래커]
  • ‘반도체 클러스터’ 올라탄 용인·평택·동탄, 집값 전망도 ‘후끈’
  • 새벽 경북 경주서 규모 4.0 지진…7년 만에 또다시 찾아온 공포
  • 내년에도 이차전지주 달린다…영업익 40% ‘껑충’ 전망
  • 오늘의 상승종목

  • 11.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50,569,000
    • -0.13%
    • 이더리움
    • 2,739,000
    • +0.62%
    • 비트코인 캐시
    • 295,500
    • -1.17%
    • 리플
    • 812
    • -0.4%
    • 솔라나
    • 80,300
    • +1.2%
    • 에이다
    • 502
    • -2.18%
    • 이오스
    • 911
    • -0.36%
    • 트론
    • 139
    • +0.29%
    • 스텔라루멘
    • 158
    • -0.7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550
    • -0.81%
    • 체인링크
    • 19,190
    • -1.59%
    • 샌드박스
    • 548
    • -0.2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