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비전 프로’ 공급사에 중국기업 8곳…삼성·LG도 포함

입력 2023-06-15 08: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탈중국 위해 공급망 찾아 나섰지만 역부족
‘비전 프로’ 상표 놓고 화웨이와 충돌 가능성도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5일 비전 프로 옆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쿠퍼티노(미국)/AFP연합뉴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5일 비전 프로 옆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쿠퍼티노(미국)/AFP연합뉴스
애플이 공급망 탈중국화를 위해 여러 국가를 찾아 나서고 있지만, 여전히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14일(현지시간) 경제전문 매체 인사이더는 중국 컨설팅 업체 웰센XR을 인용해 애플의 혼합현실(MR)용 헤드셋 ‘비전 프로’에 부품을 공급하는 업체 가운데 8곳이 중국 기업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기업 중엔 카메라 모듈 제조사인 코웰이홀딩스와 애플 에어팟 협력사인 럭쉐어 등이 포함됐다.

다른 공급사로는 한국 삼성전자와 LG, 대만 폭스콘, 일본 소니가 있었다.

애플은 지난해 중국 정부의 엄격한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인해 현지 생산에 어려움을 겪은 뒤 다른 국가로의 공급망 이전을 모색해 왔다. 이미 아이폰 생산 일부를 인도 공장으로 이전했고 아이패드 제조 역시 남아시아 국가로 이전하는 것을 모색 중이다. 다만 이번 공급사 명단에서 볼 수 있듯 애플이 중국으로부터 벗어나긴 어려워 보인다.

한편 애플이 중국에서 비전 프로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애플 소식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맥루머스는 “화웨이가 이미 중국에서 비전 프로라는 상표를 소유하고 있다”며 “화웨이는 스마트 TV, 스마트 안경을 비롯한 여러 제품에서 이 상표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화웨이와 합의하지 않는 이상 애플은 새 헤드셋 이름을 바꿔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특허청과 UDC 기술 공유”…LG디스플레이, 차세대 기술 확보 사활
  • 폭염 고위험 사업장 6만 곳…직격탄 맞은 일터
  • “사라진 장마, 계속되는 폭염…한국 날씨에 무슨 일이?”
  • "놀라지 마세요" 대전서도 블랙이글스 비행연습
  • 신약개발 비용·시간 상당한데…‘오가노이드’ 기술 확보 각축전
  • 내년 최저임금 1만320원…경영계 "민생경제 어려운 현실, 고심 끝 합의"
  • 7월 17일 제헌절, 공휴일에서 빠진 이유
  • ‘전세난’에…“차라리 청약” 눈돌리는 실수요자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071,000
    • +5.35%
    • 이더리움
    • 4,025,000
    • +6.17%
    • 비트코인 캐시
    • 704,500
    • +0.5%
    • 리플
    • 3,494
    • +5.43%
    • 솔라나
    • 221,000
    • +3.03%
    • 에이다
    • 944
    • +10.8%
    • 트론
    • 400
    • +1.52%
    • 스텔라루멘
    • 413
    • +3.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860
    • +4.24%
    • 체인링크
    • 20,670
    • +5.51%
    • 샌드박스
    • 391
    • +6.8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