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고래 싸움에 등 터진 개미

입력 2023-03-30 13: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근 정기 주주총회를 마친 KT&G는 집중투표권을 두고 한 차례 논란을 빚었다. 외국인 주주는 KT&G의 전자투표 관리업무를 대행하는 한국예탁결제원을 통해 집중투표를 할 수 없다는 사실이 알려져서다.

물론 전자투표가 어렵다고 의결권 행사가 100%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상임대리인이 주총에 직접 방문하는 식으로 의결권 행사를 할 수 있다. 다만 주총이 일주일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외국인 주주들의 혼란이 가중되는 건 어쩔 수 없었다. 애초 집중투표제는 주주의 권익을 위해 마련된 제도지만, 정작 의결권 행사에서부터 삐걱댄 아이러니한 상황이었다.

중요한 건 논란에 대한 태도다. 플래시라이트캐피탈파트너스(FCP)가 집중투표권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자 기업과 기관은 책임에서 요리조리 빠져나가기 바빴다. KT&G는 예탁원의 시스템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예탁원이 외국인 주주의 전자적 의결권 대리 행사를 전담했고, KT&G는 그 과정에 관여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예탁원은 의결권 위탁 업무를 계약할 때 집중투표는 계약에 포함하지 않아 담당 범위가 아니라고 했다. 또 예탁원을 통하지 않고도 집중투표가 가능은 하니 문제 될 게 없다는 뉘앙스였다.

틀린 말은 아니다. 집중투표제가 흔하게 이뤄지던 제도가 아니다 보니 진행 과정이 서툴렀을 수도 있다. 하지만 해명 속에 책임회피가 자리한다는 점은 문제다. KT&G는 자사 주주들 의결권이 제한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도 예탁원 탓을 했다. 누군가를 탓하는 말보다 해결 방안을 먼저 말했다면 실망감이 덜 했을 터다. 계약 탓을 하던 예탁원은 논란이 커지고 나서야 시스템을 개선하겠다고 해명했다. ‘별일 아니다’라는 식의 해명 대신 개선책을 먼저 언급했다면 실망감이 덜 했을 것이다.

주총은 끝났고 집중투표제는 해프닝처럼 끝났다. 하지만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듯, 기업과 기관의 책임 전가 속에 주주들만 난감했던 사실은 사라지지 않는다. 취재 중 “수익이 생긴 건 아니지만, 이번 일로 시스템 개선에 도움이 됐다면 다행”이라는 행동주의펀드 측의 씁쓸한 발언이 기억에 남는다.

행동주의펀드가 아닌, 기업이 조금 더 주주 권리에 관심이 많을 수는 없는 걸까. 최근 들어 주주 권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번 일을 발판삼아 조금 더 주주 중심적인 환경이 조성됐으면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전국 동시다발 산불에 진화 총력…축구장 4600개 규모 불타
  • 예상 깬 의대생들 복귀…'단일대오' 깨지나
  • 국민연금 개혁에 뭉친 與野 3040…“내년부터 국고 투입하자”
  • 권성동, 연금개혁 반발에 “불가피한 측면 있어…구조개혁 완성 최선”
  • 어깨 무거워진 카카오 정신아…리더십 시험대
  • 토허제 시행 초읽기에 콧대 꺾은 잠실·용산 집주인…“집값 또 오른다” 시장 불신은 ‘여전’ [르포]
  • 벚꽃 없는 벚꽃 축제 될라…일본, 지구온난화에 ‘벚꽃 경제’도 흔들
  • ‘한덕수 탄핵 선고’, ‘李 2심’ 몰린 한 주…與野 셈법은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472,000
    • -0.01%
    • 이더리움
    • 2,970,000
    • +0.81%
    • 비트코인 캐시
    • 478,100
    • -0.25%
    • 리플
    • 3,525
    • -0.62%
    • 솔라나
    • 195,000
    • +0.72%
    • 에이다
    • 1,048
    • -0.66%
    • 이오스
    • 831
    • +0.73%
    • 트론
    • 350
    • +1.45%
    • 스텔라루멘
    • 409
    • -0.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650
    • +0.9%
    • 체인링크
    • 21,150
    • +0.57%
    • 샌드박스
    • 421
    • -0.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