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노스 “北, 최근 미사일 지하시설서 발사 가능성 작아”

입력 2023-03-25 14: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합뉴스)
(연합뉴스)

북한이 최근 발사한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KN-23’을 지하 발사시설 사일로(Silo)에서 발사하지 않았을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24일(현지시간)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모습을 찍은 위성사진을 토대로 “사일로 발사를 배제할 수는 없지만,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38노스는 “3월 초 이후 위성사진에서 새로 건설된 수평엔진시험대(HETS) 위쪽의 언덕 꼭대기에 사일로가 있을 가능성을 보여주긴 하지만 관련 공사 진행 속도와 미사일 발사 이후 주변 증거 등은 사일로 발사와 맞지 않는다”라고 설명했다.

북한은 19일 이 언덕 꼭대기 인근에서 KN-23을 발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KN-23는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는 전술탄도미사일이다.

이날 KN-23은 기존과 달리 화염과 연기가 V자 형태를 보였다. 일부 전문가들은 지하에 땅을 파서 만든 원통형 발사시설인 사일로에서 발사할 때 이런 모습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북한이 처음으로 사일로에서 SRBM을 쏘아 올렸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38노스는 “3월 1일 위성사진에 약 1m 깊이의 둥근 구멍과 그 옆에 놓인 정사각형 모양의 덮개가 관찰됐다”며 “미사일이나 미사일 발사관(캐니스터)의 길이에 맞추려면 암반층으로 추정되는 곳을 추가로 뚫어야 해 완공까지 시간이 걸렸을 것”이라고 봤다.

이어 “3월 23일 위성사진에서는 이 구멍이 사각형 덮개로 덮여있고 주변에 파편이 원형으로 흩어져 있어 이곳이 발화점임을 시사했다”라면서도 “하지만 이동식발사차량(TEL)을 구멍 위나 근처에 배치했을 수 있고 이 경우 (사일로 발사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어 실제로 미사일이 사일로에서 발사됐는지는 불분명하다”고 판단했다.

다만 3월 1일 위성 사진과 관련해 “구멍의 바닥이 매끈하고 밝게 보인 것이 사일로 안으로 내려진 미사일 캐니스터의 윗부분일 수 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떠나자” 코로나 엔데믹 시대…포텐 터진 ‘해외여행’
  • 성공한 CEO들의 격이 다른 '덕질' [이슈크래커]
  • 테슬라 주가 1년 전으로 복귀…‘매도’ vs ‘보유’ 고민 깊은 서학개미
  • 나영석PD “‘1박 2일’ 인턴, 재벌 3세 있었다…현재는 기업 부회장”
  • ‘日 국민 여동생’ 히로스에 료코, 유명 셰프와 불륜 스캔들
  • “쥴리 접대 받았다”…경찰, ‘쥴리 의혹’ 제기 안해욱씨 영장 신청
  • “후쿠시마 오염수 희석해 마시겠다” 국내 약대 교수 언급한 까닭은
  • 정유정 고교 졸업사진 공개…동창들 “항상 커튼 뒤에 있던 친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35,217,000
    • +0.8%
    • 이더리움
    • 2,447,000
    • +0.37%
    • 비트코인 캐시
    • 148,000
    • +0.54%
    • 리플
    • 691
    • +0.91%
    • 솔라나
    • 24,870
    • -2.05%
    • 에이다
    • 432.6
    • +0.23%
    • 이오스
    • 1,172
    • +2.9%
    • 트론
    • 102.6
    • +0.98%
    • 스텔라루멘
    • 115.7
    • +0.3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060
    • +0.68%
    • 체인링크
    • 7,930
    • +0.19%
    • 샌드박스
    • 645.4
    • -1.0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