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에서 몸도 마음도 튼튼"…서울시 '유아숲체험원' 77곳 개장

입력 2023-03-13 11: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북부공원여가센터에서 아이들이 자연 생태계에 대해 생각을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북부공원여가센터에서 아이들이 자연 생태계에 대해 생각을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서울시는 유아가 숲에서 놀며 자연을 배우고 사회성과 창의성을 키울 수 있도록 '서울특별시 유아숲체험원' 77곳을 이달 중순부터 순차적으로 개장한다고 13일 밝혔다.

유아숲체험원은 5000㎡ 이상의 규모로 숲의 식생이 다양한 곳에 야외체험학습장과 대피시설, 안전시설을 갖춘 공간이다. 인공물보다는 바위나 나무, 흙 등 자연물을 활용한 놀이기구를 조성했다.

성북오동공원체험원은 버드나무·팥배나무, 은평신사공원체험원은 자두나무·은사시나무 등 울창한 수목이 있다. 관악선우지구체험원은 노랑꽃창포, 노랑어리연꽃, 수련, 참실잠자리, 깃동잠자리, 참개구리 등을 만날 수 있다. 강서꿩고개체험원과 성동매봉산체험원은 집라인(Zipline)이 있고, 강동앨리스체험원은 이상한 나라로 설계됐다.

체험원은 유치원을 다니지 않아도 이용할 수 있다. 별도의 신청이나 비용 없이 원하는 체험원을 자유롭게 찾아가면 된다.

숲은 아토피 치유(피부염 지수 39%감소)나 면역력 향상(혈중 염증 57% 감소)에도 효과가 있고, 유아 우울감을 23%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뛰고 움직이는 것은 유아의 소근육 발달에 큰 도움을 준다.

▲아이들이 나무 블록을 오르고 밟으며 자연 친밀도를 높이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아이들이 나무 블록을 오르고 밟으며 자연 친밀도를 높이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시는 취학 전 숲 체험을 경험한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학습 참여도, 인간관계 조화성, 환경친화력 등이 더 높다고 밝혔다. 스웨덴, 독일, 영국, 미국 등에서도 유아 숲 교육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다.

시는 5000㎡ 미만의 소규모 공간인 '유아동네숲터' 352곳도 운영한다. 시설물이 최소화돼 주변 자연을 관찰하고 흙을 마음껏 만지며 놀이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다.

유아숲체험원과 유아동네숲터는 온전히 유아를 위한 공간으로 청소년과 어른들은 방문 시 놀이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하며, 기구 사용은 금한다. 반려동물 동반도 불가하다.

유영봉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장은 "자연 속에서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고 뛰어놀 수 있는 유아숲 체험을 통해 몸과 마음이 건강하게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GI서울보증보험 사흘째 먹통에 실수요자들 '발동동'…은행도 "업무마비"
  • 대규모 총파업·관세 폭탄…韓 제조업 뿌리가 흔들린다
  • '2조6천억원' 땅 지분 꼬였다…압구정 3구역 재건축 위기
  • 美, AI 칩 中 수출 재승인… 삼성 '반도체 봄' 다시 오나
  •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6년, 피해자 절반은 여전히 참는 중 [데이터클립]
  • "경영권 방어 방패 사라진다"… 자사주 많을수록 큰 타격
  • 민생회복 소비쿠폰, 온라인·배달앱 결제 제한…소비자 불만에 해법은?
  • 범여권도 등 돌린 강선우·이진숙…대통령실 '침묵' 이유는
  • 오늘의 상승종목

  • 07.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2,668,000
    • +1.81%
    • 이더리움
    • 4,309,000
    • +5.95%
    • 비트코인 캐시
    • 682,500
    • +2.55%
    • 리플
    • 4,037
    • +1.53%
    • 솔라나
    • 228,100
    • +4.59%
    • 에이다
    • 1,021
    • +1.69%
    • 트론
    • 412
    • +1.48%
    • 스텔라루멘
    • 635
    • -0.6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250
    • +13.16%
    • 체인링크
    • 22,490
    • +6.59%
    • 샌드박스
    • 426
    • +3.6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