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집권 3기 시작을 알리는 양회가 개막했다. 시장에서는 중국의 경기 부양 의지가 기대에 못 미쳤다고 평가하는 가운데, 경기민감주에 대한 되돌림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6일 "전반적인 기조는 12월 중앙경제공작회의와 유사했지만 과도한 부양은 지양하는 스탠스를 내비쳤다"며 "경제성장률은 '5.0% 내외'로 제시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컨센서스가 5.3%로 집계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아쉬운 목표치"라고 말했다.
신 연구원은 "재정적자비율은 작년 2.8%에서 3.0%로 확대했고, 지방정부 특별채 발행 한도도 작년 3조6500억 위안에서 3조8000억 위안으로 증액했다"면서 "컨센서스에 부합하나 시장의 높아진 눈높이를 충족시키기에 다소 부족하다"고 짚었다.
이어 "중국 전인대(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확인한 정부의 경기 부양 의지는 기대에 다소 못 미친다. 인프라, 소재, 산업재 등 경기민감주는 일부 되돌림의 가능성이 있다"며 "정책 기대감보다 숫자 확인이 필요한 구간이다. 본격적인 경제 정상화 시기는 2분기로 예상되나 1월 신규대출과 2월 PMI(구매관리자지수) 지표는 기대감을 자극한다"고 했다.
관련 뉴스
다만 경기민감주의 되돌림 가능성에도 큰 전제는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신 연구원은 "국내 주식시장에서 중국 관련주들은 정책 기대감 구간을 지나 실제 데이터에 반응하는 영역에 진입 중"이라면서 "중국이 올해 주요국 중 가장 높은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국가라는 전제는 변하지 않았다. 기회는 여전히 중국에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