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시장 초점은 ‘금리’…연준 인상 시기 놓고 갑론을박

입력 2021-11-04 17:1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글로벌 투자은행들 내년 6월~12월경 첫 금리 인상 예상
노동시장 회복세가 관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에 돌입하면서 세계 경제와 시장 초점이 기준금리 인상 시기에 맞춰지게 됐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연준은 당분간 현행 ‘제로금리’ 정책을 고수할 것이라면서, 조기 금리 인상 우려를 일축했다. 다만 그러면서도 인플레이션 상황 등 대응이 필요한 때가 되면 주저 없이 행동하겠다며 여지를 열어둬 연준의 금리 인상 시점을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연준은 당장 미국 경제의 회복세가 금리 인상을 단행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진단이다. 3분기 국내총생산(GDP)과 일자리 증가세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둔화했으며, 물가 상승률 역시 공급망 혼란이 원인인 만큼 일시적일 것으로 판단했다.

금리 인상 시기는 인플레이션 추이와 고용 시장에 달렸다. 무엇보다 연준이 이번에 미국 경제가 최대 고용을 달성할 때까지 제로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반복한 만큼 노동시장 회복세가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고용 시장을 나타내는 여러 지표는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전보다 약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연준의 첫 금리 인상 시기를 이르면 내년 6월에서부터 12월경으로 점치고 있다. 한국은행 뉴욕사무소에 따르면 월가 대표은행 씨티그룹은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 발표 이후 첫 번째 금리 인상 시기 전망을 기존 내년 12월에서 같은 해 6월로 앞당겼다. 높은 인플레이션과 빡빡한 노동시장을 감안했다는 설명이다. 또 연준 의장이 현 제롬 파월에서 레이얼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 등 다른 사람으로 교체되지 않는다면 9월과 12월에도 추가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파월 의장이 팬데믹 사태 완화 이후 인플레이션이 안정될 것이며, 타이트한 노동시장 지속 여부도 불확실하다고 평가한 점 등을 비춰봤을 때 금리 인상에 급하게 나설 것 같지는 않다”며 내년 4분기 첫 금리 인상 전망을 유지했다.

모건스탠리 MUFG 증권의 스기사키 고이치 이사는 “현시점에서 연준의 톤을 감안하면 2022년 후반 완전 고용에 이른다고 하는 견해를 바탕으로 내년 1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하고 이후 천천히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CIBC이코노믹스의 캐서린 저지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내년 하반기 두 차례의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년에도 연준이 ‘제로금리 정책’을 고수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었다. 스위스 은행 UBS는 “실업률보다는 고용 수준이 완전고용의 판단 기준이 될 것”이라며 “연준이 2022년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금리 인상은 연준이 긴축으로 완전히 전환한다는 의미여서 세계 경제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그만큼 연준도 금리 인상에는 매우 신중한 자세를 보인다. 직전 금리 인상 시기를 살펴보면 연준은 2014년 1월 테이퍼링에 착수, 10개월에 걸쳐 실시하고 나서 2015년 12월에야 처음으로 금리를 올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범죄도시4’ 이번에도 싹 쓸어버릴까?…범죄도시 역대 시리즈 정리 [인포그래픽]
  • 직장 상사·후배와의 점심, 누가 계산 해야 할까? [그래픽뉴스]
  • 동네 빵집의 기적?…"성심당은 사랑입니다" [이슈크래커]
  • 망고빙수=10만 원…호텔 망빙 가격 또 올랐다
  • ‘눈물의 여왕’ 속 등장한 세포치료제, 고형암 환자 치료에도 희망될까
  • “임영웅 콘서트 VIP 연석 잡은 썰 푼다” 효녀 박보영의 생생 후기
  • 꽁냥이 챌린지 열풍…“꽁꽁 얼어붙은 한강 위로 고양이가 걸어다닙니다”
  • 올림픽 목표 금메달 10개→7개 →5개…뚝뚝 떨어지는 이유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218,000
    • +0.89%
    • 이더리움
    • 4,505,000
    • -0.04%
    • 비트코인 캐시
    • 698,000
    • -1.55%
    • 리플
    • 727
    • -1.09%
    • 솔라나
    • 213,000
    • +5.08%
    • 에이다
    • 690
    • +3.29%
    • 이오스
    • 1,141
    • +3.63%
    • 트론
    • 161
    • +0%
    • 스텔라루멘
    • 163
    • +0.62%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750
    • -1.58%
    • 체인링크
    • 20,390
    • +2.62%
    • 샌드박스
    • 655
    • +1.2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