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두산인프라코어, 필리핀서 건설장비 62대 수주…신흥시장 호조  

입력 2021-10-06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필리핀 시장서 총 138대 판매…전년 대비 약 57% 증가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최근 필리핀에서 수주한 굴착기 DX340LCA-K 모델 사진.  (사진제공=현대두산인프라코어)
▲현대두산인프라코어가 최근 필리핀에서 수주한 굴착기 DX340LCA-K 모델 사진. (사진제공=현대두산인프라코어)

현대중공업그룹 건설기계부문 계열사인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최근 필리핀 대형 고객사들로부터 총 62대의 건설장비를 잇따라 수주했다고 6일 밝혔다.

 

우선 필리핀 파나이섬 남부 일로일로시에서 수력발전소를 건설 중인 필리핀 현지 기업과 22톤급 및 34톤급 크롤러 굴착기 27대와 14톤급 및 19톤급 휠 굴착기 12대에 대한 계약을 맺었다.

 

이뿐만 아니라 필리핀에서 광산 회사와 45톤급 굴절식 덤프트럭 18대 및 80톤급 굴착기 5대 등 총 23대에 대한 수주계약을 체결했다. 

이 장비는 필리핀 루손섬 남부 비콜 지역의 구리 광산에 투입될 예정이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이번 계약으로 올해 들어 필리핀에서만 총 138대의 건설장비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약 57% 증가한 규모이다. 연이은 수주로 시장점유율을 6.2%까지 끌어올렸다.

 

이번 수주 계약은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우수한 현지 서비스망과 맞춤형 영업 전략이 고객사들로부터 신뢰를 얻어 성사됐다.  

광산 개발용 장비 수주 계약의 경우 딜러사에서 서비스 포스트를 광산 바로 옆에 신규로 구축, 장비 운용 설명과 시험 운영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는 장비관리 서비스 등을 필리핀 현지에 구축함으로써 사후관리(AS) 부문에서 고객사들로부터 신뢰를 얻고 있다. 

 

현대두산인프라코어 관계자는 "글로벌 건설장비 시장 트렌드를 분석, 앞으로 성장이 예상되는 신흥시장에 대한 영업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며 “신흥시장 내 경쟁사 대비 우월한 AS 서비스망과 현지 맞춤형 라인업 등을 구축한 만큼 시장 점유율이 점차 오를 것으로 자신한다”고 했다.  

 

한편, 현대두산인프라코어의 8월까지 신흥시장 누적 판매량은 전년 대비 약 81% 증가한 4700대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월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 살펴보니…‘오사카·나트랑·후쿠오카’ 톱3
  • 한덕수 대행 “한층 더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해 나가겠다”
  •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 연속 하락…리터 당 1635.6원
  • “밑 빠진 독” 게임 구독제의 역사…정액제에서 리니지 스킬 구독까지 [딥인더게임]
  • 마인크래프트 무비, 상상하는 모든 것이 '네모난' 현실이 된다 [시네마천국]
  • 해외IB, 韓 올해 성장률 전망치 0.5%까지 '뚝'…내년도 '흔들'
  • 티니핑부터 헬로카봇까지…어린이날 선물 어디서 살까
  • "명품에만 앰배서더? NO" 호텔에도 앰배서더 있다 [배근미의 호스테리아]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402,000
    • +1.45%
    • 이더리움
    • 2,598,000
    • +1.76%
    • 비트코인 캐시
    • 535,500
    • +3.18%
    • 리플
    • 3,193
    • +1.04%
    • 솔라나
    • 218,400
    • -0.64%
    • 에이다
    • 1,044
    • +0.87%
    • 이오스
    • 1,027
    • +5.55%
    • 트론
    • 354
    • +0.85%
    • 스텔라루멘
    • 424
    • +4.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500
    • +30.35%
    • 체인링크
    • 21,760
    • -0.09%
    • 샌드박스
    • 453
    • +3.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