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미국 테이퍼링 공식화, 커지는 경제·금융 리스크

입력 2021-06-18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예상대로 미국의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를 통한 긴축과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것이 확실해지고 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16일(현지시간) 끝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연 0∼0.25%로 동결하고, 매달 1200억 달러의 국채 및 주택저당증권(MBS) 매입을 일단 유지키로 했다. 그러나 제롬 파월 Fed 의장은 FOMC 회의 이후 “테이퍼링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테이퍼링을 공식화한 것이다. 파월 의장은 그동안 이에 대한 논의의 필요조차 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 하지만 태도가 바뀐 언급에 시장은 주목하고 있다. 이미 논의와 준비가 시작됐다는 관측이 많다.

미국이 코로나19 이후의 대규모 양적완화를 멈추고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 쪽으로 돌아서고 있음을 뜻한다. 8∼9월 정책이 구체화하고, 내년 초부터 긴축에 들어갈 것이란 예측이 지배적이다. 테이퍼링 이후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도 분명해지고 있다. Fed가 공개한 FOMC 위원들의 금리 전망인 점도표(點圖表)는 2023년 두 차례 금리인상을 가리켰다. 당초 Fed는 2023년까지 제로금리를 유지한다는 입장이었다. Fed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종전의 2.4%에서 3.4%로, 경제성장률도 6.5%에서 7%로 대폭 높였다. 조기 긴축과 금리인상의 배경이다.

금융시장은 곧바로 반응했다. 뉴욕증시가 급락하고 미 국채금리가 치솟았다. 한국도 17일 코스피지수가 13.72포인트(0.42%) 떨어진 3264.96으로 내려앉았고,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2원 급등한 1130.4원에 마감했다. 국고채 금리도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과거 2013년의 ‘긴축발작’이 재연될 우려가 완화돼 있기는 하다. 긴축발작은 Fed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의 양적완화를 축소하겠다는 신호를 내놓으면서 신흥국의 주식·채권값과 통화가치가 급락하는 충격을 가져온 사태다. 정부도 이날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우리의 시장대응 능력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영향이 있겠지만, 견고한 펀더멘털과 대외신인도, 최대 규모의 외환보유액 등이 뒷받침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여러 차례 테이퍼링이 예측되면서 불확실성을 줄인 측면도 있다.

그럼에도 미국 통화정책 기조 전환이 본격화할 경우 충격은 여전히 가늠하기 힘들다. 이는 그동안 글로벌 차원의 돈풀기가 긴축으로 바뀌는 방아쇠가 될 수밖에 없다. 우리의 금리 정상화에 대한 압박도 더 커진다. 이미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상이 가까와졌음을 예고한 상태다. 긴축과 금리인상의 시동이 걸리면 추세화하면서 경제 전반에 장기적인 파장을 몰고 올 공산이 크다. 민간의 과도한 부채가 최대 위험 요인이다. 금융과 거시경제 전반의 정책 재검토와 체계적인 대책 준비가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살아남아야 한다…최강야구 시즌3, 월요일 야구 부활 [요즘, 이거]
  • 블랙스톤 회장 “AI붐에 데이터센터 급증…전력망 과부하 엄청난 투자 기회”
  • 기후동행카드, 만족하세요? [그래픽뉴스]
  • 단독 저축은행 건전성 '빨간불'에 특급관리 나선 금융당국 [저축銀, 부실 도미노 공포①]
  • 비트코인, 6만1000달러도 위태롭다…‘ETF 매도’ 직격 [Bit코인]
  • 푸바오 중국 근황 공개…왕죽순 쌓아두고 먹방 중
  • [르포] "팔 사람은 진작 다 팔았다"…금·달러 고공행진에도 발길 뚝
  • “자물쇠 풀릴라” 뒷수습 나선 쿠팡…1400만 충성고객의 선택은?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13:4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235,000
    • -4.1%
    • 이더리움
    • 4,460,000
    • -3.38%
    • 비트코인 캐시
    • 698,000
    • -3.72%
    • 리플
    • 733
    • -0.95%
    • 솔라나
    • 199,500
    • -3.99%
    • 에이다
    • 665
    • -2.92%
    • 이오스
    • 1,090
    • -2.5%
    • 트론
    • 163
    • -2.98%
    • 스텔라루멘
    • 160
    • -1.8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6,750
    • -3.83%
    • 체인링크
    • 19,580
    • -2.59%
    • 샌드박스
    • 638
    • -2.1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