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체류 외국인 250만명 돌파…‘다문화사회’ 코앞

입력 2020-02-17 11: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거리를 이동하는 외국인 관광객.  (연합뉴스)
▲2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거리를 이동하는 외국인 관광객. (연합뉴스)

국내 체류 외국인이 250만 명을 처음으로 돌파했다. 이는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4.9%에 해당하는 수치로 학계에서는 외국인 비율이 5%를 넘으면 다문화사회로 분류한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가 17일 발표한 2019년 12월 통계월보에 따르면 2019년 12월 말 현재 체류 외국인은 252만4656명으로 전월보다 3.7%, 전년동기에 비해서는 6.6% 늘었다.

252만여 명 가운데 90일 이상 장기체류할 목적으로 관련 당국에 등록하거나 거소신고를 한 외국인은 173만1803명(68.6%)이고, 단기체류자는 79만2853명(31.4%)이다.

국적별로는 중국이 110만1782명으로 43.6%를 차지한다. 이 가운데 70만1098명(63.3%)은 이른바 조선족이라고 불리는 한국계 중국인이다.

베트남이 22만4518명으로 그 뒤를 따랐고, 태국(20만9909명), 미국(15만6982명), 일본(8만6196명), 우즈베키스탄(7만5320명), 필리핀(6만2398명), 러시아(6만1427명), 인도네시아(4만8854명), 몽골(4만8185명), 캄보디아(4만7565명) 등 순이다.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
(그래픽=손미경 기자 sssmk@ )

등록외국인의 거주지를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41만4318명)가 가장 많고 서울(28만1876명), 충남(세종시 포함ㆍ7만6375명), 경남(7만6123명), 인천(7만2259명), 경북(5만8119명), 부산(4만5999명), 충북(4만714명), 전남(3만4638명), 전북(3만3074명), 대구(3만191명), 제주(2만5668명), 광주(2만3825명), 울산(2만450명), 대전(1만9109명), 강원(1만9069명) 순이다.

불법체류 외국인(미등록외국인)은 전년 대비 9.9% 증가한 39만281명에 이르렀다. 전체 체류 외국인에서 차지하는 불법체류율도 15.5%로 2018년보다 0.5%포인트 올랐다.

외국인 유학생은 18만131명으로 12.1% 늘어났다. 2018년(18.9%)에 비하면 증가율이 둔화했다. 학위과정은 약 11만8000명이고 연수과정이 약 6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유학생 국적은 중국(7만1719명), 베트남(5만7539명), 우즈베키스탄(1만499명), 몽골(8739명), 일본(2887명), 네팔(2331명), 파키스탄(1905명), 인도네시아(1461명), 인도(1451명), 방글라데시(1387명), 미국(1385명) 등의 차례였다.

지난 한 해 난민 신청자는 1만5452명으로 2018년보다 4.5% 낮아졌다. 1994년 이후 지난해 12월까지 난민 신청자는 6만4358명에 이른다. 심사가 끝난 2만8600명 가운데 1022명이 난민으로 인정됐고, 2217명이 인도적 체류 허가를 받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코스피, 장중 3000선 돌파…3년 6개월만
  • ‘내란 특검보’ 김형수·박억수·박지영·박태호·이윤제·장우성
  • [날씨] 전국 장마 시작…강풍 동반해 시간당 최대 50㎜ 쏟아져
  • 티몬, 오늘 운명의 날…오아시스 품에 안기나
  • ‘서울대 10개 만들기’ 입시 병목 해법 되나…“재정마련 시급”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⑩·끝]
  • '나솔사계' 17기 옥순, '나솔'서 최종 선택 안한 이유⋯"확신 드는 사람 없어"
  • 비비탄 총 쏴 남의 개 죽인 해병⋯해병대 "사안 엄중해, 법으로 조치할 것"
  • 비트코인, 미 증시 휴장에 숨 고르기…중동 확전 예의 주시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13: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4,501,000
    • -0.87%
    • 이더리움
    • 3,476,000
    • -0.77%
    • 비트코인 캐시
    • 679,000
    • +6.59%
    • 리플
    • 2,979
    • -1%
    • 솔라나
    • 200,900
    • -1.08%
    • 에이다
    • 826
    • -1.67%
    • 트론
    • 380
    • -0.26%
    • 스텔라루멘
    • 343
    • -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150
    • +4.15%
    • 체인링크
    • 17,950
    • -2.07%
    • 샌드박스
    • 350
    • -1.4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