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혼 결심한 노소영 "최태원 원하는 '행복' 찾아가게 할 것"

입력 2019-12-04 18:0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재산 분할 반소 후 SNS 통해 심경 밝혀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뉴시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뉴시스)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이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제기한 이혼 소송에 반소를 제기한 뒤 “남편이 저토록 간절히 원하는 ‘행복’을 찾아가게 하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심경을 밝혔다.

노 관장은 4일 페이스북을 통해 “지난 세월은 가정을 만들고 이루고 또 지키려고 애쓴 시간이었다”며 “힘들고 치욕적인 시간을 보낼 때에도 일말의 희망을 갖고 기다렸다”고 글을 올렸다.

이어 그는 “그러나 이제 그 희망이 보이지 않게 됐다”면서 “남편이 저토록 간절히 원하는 ‘행복’을 찾아가게 하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전했다.

노 관장은 “지난 삼십 년은 제가 믿는 가정을 위해 아낌없이 보낸 시간이었다”며 “목숨을 바쳐서라도 가정은 지켜야 하는 것이라고 믿었지만 이제 ‘가정’을 좀 더 큰 공동체로 확대하고 싶다”고 말했다.

또 “남은 여생은 사회를 위해 이바지 할 수 있는 길을 찾아 헌신하겠다”며 “끝까지 가정을 지키지는 못했으나 저의 아이들과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되는 사람으로 남고 싶다”라는 뜻을 밝혔다.

이날 노 관장은 서울가정법원에 이혼 소송을 낸 최 회장을 상대로 재산 분할을 요구하는 맞소송을 냈다.

최 회장은 2015년 혼외 자녀의 존재를 공개하고 2017년 7월 노 관장을 상대로 이혼 조정을 신청했다. 노 관장이 이혼에 반대하며 양측이 합의를 이루지 못하자 지난해 2월 정식 소송 절차에 돌입했다. 그러나 노 관장은 결국 4년여만에 이혼 의사를 밝히고 이혼 조건으로 최 회장에게 위자료와 회사 주식 등 재산 분할을 요구했다.

최 회장의 자산은 4조 원이 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과 동산 일부를 제외하면 대부분 SK㈜ 지분 18.44% 등 유가증권 형태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원칙적으로 이혼할 때 분할 대상이 되는 재산은 부부가 결혼한 이후 함께 일군 공동 재산이어서 노 관장이 얼마나 재산 분할을 받을지는 미지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몽글몽글한 그 감성…인스타 꾸미기 고민이라면, '디지털 레트로' 어떠세요? [솔드아웃]
  • 산불·관세전쟁에 12.2조원 추경…"성장률 0.1%p 상승 효과"[필수추경]
  • 비트코인, 미 증시 혼조에도 상승…8만 달러 중반 넘어서나 [Bit코인]
  • “세종시 집값 심상찮네”…대통령실 이전설 재점화에 아파트값 상승 전환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오프로드ㆍ슈퍼카로 고성능 시대 연 제네시스…국산 차의 '엔드게임' 노린다 [셀럽의카]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516,000
    • +0.33%
    • 이더리움
    • 2,306,000
    • +0.17%
    • 비트코인 캐시
    • 496,900
    • +4.13%
    • 리플
    • 3,006
    • -0.82%
    • 솔라나
    • 195,200
    • +1.56%
    • 에이다
    • 895
    • +0%
    • 이오스
    • 909
    • +3.41%
    • 트론
    • 353
    • -1.67%
    • 스텔라루멘
    • 353
    • +2.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190
    • +3%
    • 체인링크
    • 18,220
    • +1.5%
    • 샌드박스
    • 377
    • +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