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국감]윤호중 의원, 롯데-신라 등 재벌면세점, 억대 리베이트 문건 폭로

입력 2015-09-18 06: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재벌 면세점이 여행사에 제공하는 ‘폭탄급 리베이트’의 실체가 공개됐다. 18일 국회 기획재정위 윤호중(새정치민주연합) 의원실이 입수한 롯데·신라면세점의 내부문건에는 재벌 면세점이 여행사에 주는 리베이트 규모, 지급기준과 방법 등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

내부문건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최근 ‘여행사 매출왕 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총 2억원이 넘는 상금(리베이트)을 내걸었다. 윤호중 의원은 “문건을 통해 재벌 면세점의 무차별 리베이트 실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고 말했다.

이렇게 롯데신라 두 재벌면세점이 지급 리베이트가 작년 한해 5,000억 원, 지난 4년간 1조 2,000억원에 이름. 반면, 중소중견 면세점의 경우 지난해 재벌면세점 리베이트의 6% 수준인 307억원을 지급. 다만 이 수치도 롯데면세점이 대주주인 동화면세점의 리베이트가 306억 원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지방 중소중견 면세점은 리베이트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입수한 ‘월드타워점 OPEN 기념 프로모션’이라는 제목의 문건은 10월 13일 롯데면세점 중국동남아판촉팀이 중국 인바운드(inbound·외국인 상대 여행사업) 여행사들에 배포한 것이다.

문건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은 작년 10월 16일(오픈일)부터 12월 31일까지 77일 동안 월드타워점에서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린 여행사 5곳을 선정, 순위별로 리베이트를 현금으로 지급한다는 내용이다. 1등은 1억원, 2등은 5000만원, 3등은 3000만원, 4등은 2000만원, 5등은 1000만원 등이다.

여행가이드에게도 상당한 리베이트를 지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동남아 여행사 가이드 인센티브 지급 안내’라는 문건을 보면, 롯데면세점은 2014년 8월 한달간 소공동점·잠실점·코엑스점 3개점을 합친 매출을 기준으로 여행가이드에게 리베이트를 제공할 계획을 세웠다. 리베이트 지급 기준인 매출은 월 20만 달러, 15만 달러, 13만 달러, 10만 달러 등 19단계로 분류했다. 여행가이드가 월 20만 달러를 올리면 1000만원(매출 대비 리베이트 4.88%), 15만 달러는 800만원(5.21%), 13만 달러는 500만원(3.76%), 10만 달러는 420만원(4.10%)의 리베이트를 준다. 매출 하한선은 월 3000달러로, 리베이트는 15만원(4.88%)이다.

국내 면세점 업계 2위 신라면세점도 ‘머니게임’의 유혹을 떨치지 못했다. ‘신라면세점 여행사 인센티브 안내문’은 롯데면세점과 마찬가지로 중국 인바운드 여행사에 발송된 거다. 2장으로 구성된 안내문에는 매출별·구매객별 리베이트의 내용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 대상점은 신라면세점 서울점, 기간은 작년 2014년 10월 1일부터였다.

첫장의 내용을 보면, 월 매출을 25만 달러, 15만 달러, 10만 달러 등 7개로 분류해 놨다. 이를 기준으로 차등적 리베이트가 지급된다. 월 25만 달러의 매출을 올리면 리베이트는 1000만원(매출 대비 리베이트 3.77%), 20만 달러는 800만원(3.77%), 15만 달러는 525만원(3.30%) 등이다. 월 매출 3만 달러가 하한선인데, 리베이트는 90만원(2.83%)다. 평균 리베이트 비율은 3.23%로, 매출이 많을수록 상승한다.

월 구매객이 50명 이상이면 ‘추가 리베이트’를 지급한다. 면세점에서 물품을 구입한 여행객 수만큼 리베이트를 더 주는 건데, 시쳇말로 ‘두(頭)당 셈법’이다. A여행사가 유치한 요우커 50명이 신라면세점(서울점)에서 구매객 평균 1400달러 이상의 물품을 구입했다고 치자. 이 경우, 신라면세점은 1명당 8만4000원의 리베이트를 추가 지급한다. 이런 방정식을 통해 요우커 50명이 1인당 1300달러 이상을 지출하면 1명당 7만8000원, 1인당 1200달러 이상일 땐 7만2000원의 리베이트를 제공한다. 당연히 구매객이 늘어날수록 더 많은 리베이트가 지급된다.

재벌 면세업 업체들은 “면세점 업체가 여행사와 여행가이드에게 지급하는 알선수수료(리베이트)의 근거는 관광진흥법 제38조, (구)관광사업법 제2조제2호에 있다며 절대 불법행위가 아니”라고 반박하지만 이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관광진흥법 제38조는 관광종사원의 자격을 정의한 조문으로 별 의미가 없다. 여행알선업의 정의를 규정한 (구)관광사업법 제2조제2호는 1986년 ‘관광진흥법’으로 전면개정돼 사실상 폐지됐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사라진 구법(舊法)을 근거로 리베이트의 합법성을 운운하는 건 상식적이지 않다”고 꼬집었다.

이에 윤호중의원은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한 이홍균 한국면세점협회 대표(롯데면세점대표)에게 “재벌면세점 두 곳이 무리한 경쟁으로 리베이트를 이렇게 과하게 지급하고 있으니, 중소중견면세점이 장사가 될 리가 없다. 상생을 전혀 하고 있지 않다”고 꼬집으며, “법적근거가 미약한 상황에, 과한 경쟁이 지속되고, 중소중견기업과도 상생이 안될 바에는 정부주도 혹은 업계자율협약 등으로 매출 혹은 객단가 등으로 리베이트 지급의 명확한 법적근거를 정립하고, 과하지 않은 적당한 선을 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북한 ‘오물 풍선’ 전국서 600개 발견…정부 “대북확성기 재개 논의”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우주굴기’ 중요한 이정표 세워…달 뒷면에 목메는 이유는
  • 이혼재판에 SK우 상한가…경영권 분쟁마다 주가 오르는 이유
  • “넘버2 엔진 시비어 데미지!”…이스타항공 훈련 현장을 가다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838,000
    • +0.3%
    • 이더리움
    • 5,311,000
    • +0.45%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1.01%
    • 리플
    • 724
    • -0.41%
    • 솔라나
    • 231,300
    • -0.9%
    • 에이다
    • 634
    • +1.12%
    • 이오스
    • 1,135
    • +0.89%
    • 트론
    • 158
    • +1.28%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100
    • -0.99%
    • 체인링크
    • 25,790
    • -0.31%
    • 샌드박스
    • 625
    • +3.4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