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개선 없는 '우선주 착시 효과'…투자자 주의보

입력 2015-06-24 15: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6월 말 중간배당 시즌이 정점, 수급 불균형 노린 투기세력 의심

▲주식시장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 우선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사진은 특정기사와 관련이 없음). (사진=뉴시스)

주식시장 가격제한폭 확대로 인해 보통주 대비 우선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수급 기반이 취약하고 실적 개선세를 배제한 상승세에 금융투자업계의 경고가 이어지고 있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5일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 우선주 시장의 상대적 강세현상이 뚜렷한 것으로 분석된다. 제도가 시행후 8거래일째인 이날 코스피 종목별 누적 주가 상승률을 살펴보면, 상위 10개 종목 모두 우선주였다.

나아가 톱30 종목 가운데 25개가 우선주였다. 이번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에 따른 최대 수혜주는 단연 우선주다.

과거 가격제한폭 확대가 시행될 때마다 대형주와 보통주보다 중소형주를 비롯해 거래량이 적은 우선주가 급등해왔다.

그동안 시장 환경변화도 우선주에 대한 관심을 부추겼다. 초저금리 시대로 진입하면서 채권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 이어 정부가 기업에 배당 활성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보통주의 의결권 가치가 약화되면서 우선주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으로 시장은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 투자자 행동심리 역시 새 제도 시행 이후 주가 하락보단 상승 쪽에 더 큰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6월 말 기업의 중간배당 시즌이 다가오면서 고배당 우선주에 대한 전략적인 분석도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우선주 관심집중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도 이어진다. 우선주의 가치는 배당으로 연결되고 배당은 기업의 실적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지닌다. 그럼에도 최근 이어진 우선주에 대한 관심은 수급기반이 약한 상황에 일어난 일시적인 상승세라는게 투자업계의 중론이다. 유동성과 펀더멘탈 개선 가능성에 근거한 옥석 가리기에 주력할 필요하다는 의미다.

한국거래소 역시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 우선주를 중심으로 한 급등세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일부 우선주를 중심으로 한 저유동성 종목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불공정거래’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거래소는 이날 "최근 우선주 등 저유동성 종목이 투기적 거래자들의 '폭탄돌리기'식 투자행위로 이상 급등하고 있다"며 "일부 종목에서는 전형적인 불공정거래 양태도 발견된다"고 밝혔다.

불공정거래의 크고 작음을 떠나 이같은 사실이 발견되면 금융당국에 통보하고 관련 계좌에 대해서는 증권사에 수탁 거부를 요구할 방침이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새 제도 도입 초기에 일어나는 일시적 현상”이라며 “시장감시 기능이 제도 도입 초기에 집중되는 만큼 여러 가지 가능성을 놓고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융권 휘젓는 정치…시장경제가 무너진다 [정치금융, 부활의 전주곡]
  • HBM이 낳은 참극...삼성전자·SK하이닉스 동조화 깨졌다 [디커플링 두 회사 ②]
  • 높아지는 日정부 압박 수위…라인야후, 네이버 색깔 빼기 본격화
  • 대북 확성기 설치 언제부터?…북, 오물 풍선 대응
  • "밀양 여중생 성폭행 가해자는 맛집 운영 중"
  •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제네바 모터쇼…폐지되는 5가지 이유
  • 황선우, 마레 노스트럼 자유형 200m 금빛 물결…대회 2관왕 달성
  • "김호중 천재적 재능이 아깝다"…KBS에 청원 올린 팬
  • 오늘의 상승종목

  • 06.03 09:3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929,000
    • +0.16%
    • 이더리움
    • 5,283,000
    • -1.1%
    • 비트코인 캐시
    • 638,500
    • -1.62%
    • 리플
    • 719
    • -1.1%
    • 솔라나
    • 227,500
    • -2.07%
    • 에이다
    • 623
    • -1.11%
    • 이오스
    • 1,114
    • -1.85%
    • 트론
    • 162
    • +3.18%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4,300
    • -1.23%
    • 체인링크
    • 25,160
    • -1.99%
    • 샌드박스
    • 605
    • -1.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