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5월 12일 伯兪泣杖(백유읍장) 노쇠한 어머니를 보며 우는 효자

입력 2015-05-12 11: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중국 한(漢)나라 때의 효자 한백유(韓伯兪)는 ‘백유가 매를 맞으며 운다’는 백유읍장(伯兪泣杖)의 주인공이다. 백유지효(伯兪之孝) 백유지읍(伯兪之泣)이라고도 한다.

어머니가 아들의 잘못을 꾸짖으며 매질을 하자 백유가 맞으며 울었다. 어머니가 “전에 매를 들 때는 울지 않더니 지금은 왜 우느냐?”고 물었다. 백유는 “전에 죄를 얻어 매를 맞을 때는 언제나 그 매가 아팠는데, 지금은 어머니의 힘이 모자라 능히 저를 아프게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울었습니다” 하고 대답했다.[伯兪有過其母笞之泣 其母曰他日笞子未嘗泣今泣何也 對曰兪得罪笞常痛 今母之力不能使痛 是以泣] 전한(前漢) 말에 유향(劉向)이 편집한 설화집 ‘설원’(說苑) 건본(建本)편에 있는 기록이다.

이 며칠 동안 효도에 관한 한자성어를 살펴보았다. 반포지효 풍수지탄 동온하정 혼정신성 외에도 참 많다. 맹종읍죽(孟宗泣竹)은 삼국시대 오(吳)나라 사람 맹종이 한겨울에 죽순을 먹고 싶다는 어머니를 위해 대밭에 갔다가 구할 수 없어서 울자 갑자기 죽순이 솟았다는 고사다. 맹종곡죽(孟宗哭竹) 맹종설순(孟宗設筍)이라고도 한다.

왕상리어(王祥鯉魚)는 삼국 시대 위(魏)나라 말 서진(西晉) 초 때 왕상의 이야기다. 그의 계모가 한겨울에 잉어를 먹고 싶다고 하자 옷을 벗고 얼음 위에 누워 얼음을 녹여 고기를 잡으려고 하니 잉어 두 마리가 튀어 나왔다고 한다. 자로부미(子路負米)는 공자의 제자 자로가 등짐으로 쌀을 져서 백 리 밖까지 운반하고 그 운임으로 양친을 봉양한 것을 말한다.

반의지희(班衣之戱)는 중국 초(楚)나라의 노래자가 일흔이 넘어서도 부모를 위해 색동옷을 입고 재롱을 부렸다는 이야기. 노래자유희(老萊子遊戱)다. 조선시대의 문신 농암 이현보(1467~1555)도 일흔 넘어 노래자처럼 부모를 즐겁게 해 드려 ‘때때옷 선비’라고 불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단독 금감원, 가상자산거래소에 감독분담금 청구한다
  • "중국이 중국했다" 손흥민·이강인 향한 좁은 속내…합성사진 논란
  • 쿠팡 "'평생 먹은 것 중 제일 맛없다'는 직원 리뷰가 조작?" 공정위에 반박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라”...쉬지 않고 뻗어나가는 ‘뉴월드’ [정용진號 출범 100일]
  • 집단 휴진 거부한 아동병원, 의협 회장 맹비난 "'폐렴끼' 만든 사람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797,000
    • -0.08%
    • 이더리움
    • 5,053,000
    • +2.29%
    • 비트코인 캐시
    • 610,500
    • +1.33%
    • 리플
    • 692
    • +2.52%
    • 솔라나
    • 204,900
    • +0.54%
    • 에이다
    • 584
    • +0.52%
    • 이오스
    • 936
    • +1.52%
    • 트론
    • 163
    • -1.81%
    • 스텔라루멘
    • 140
    • +2.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100
    • +0.14%
    • 체인링크
    • 20,880
    • -0.48%
    • 샌드박스
    • 543
    • +1.3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