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의료기술지주 자회사 뉴라이브(NEURIVE)는 디지털 치료제 소리클리어(SoriCLEAR)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다섯 번째 디지털 치료제로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명 치료 목적의 디지털 치료제로는 국내 최초다.
소리클리어는 환자의 나이와 성별, 이명 주파수와 크기 등을 수치화해 인공지능(AI)으로 환자의 장애 요인과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유럽연합(EU)에 일침을 날렸다. “EU 미래를 위한 ‘실존적 도전’의 중심에 인공지능(AI)이 있다”는 쓴소리다. 올트먼은 10~11일(현지시간) AI 파리 정상회의에 앞서 현지 일간 르몽드 기고문을 통해 AI 산업 규제에 치중하다 못해 미국 빅테크까지 옥죄는 EU 행태를 꼬집었다. “남들이 전진하는 상황에서
지난해 이맘때다. “올해는 괜찮아지겠죠?”, “힘들어도 할 건 해야죠”, “정부가 더 힘을 실어주면 좋겠습니다”
2024년 대한민국 제약·바이오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 많은 성과를 내기 위해 무엇이 필요하냐는 물음에 대한 답이었다. 지난해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산업 투자 행사인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가해 많은 글로벌 제약기업과 투자자들로부터
전기·자기장 등으로 치료하는 전자약…안전성↑부작용↓ 국내 기업 리메드는 자기장, 와이브레인·뉴아인은 전기적응증, 기존 정신질환서 암·당뇨·안과질환 등으로 확대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이 발전하며 자기장·전기·초음파 등을 활용해 치료하는 전자약이 주목받고 있다. 적응증도 개발 초기 정신질환에서 비만, 당뇨, 암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내서도 전자약 처방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정보통신(IT)가전 전시회(CES) 2025’에서 ‘K스타트업 통합관’을 7일부터 1월 10일(현지시간)까지 4일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ES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에서 주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제품 박람회로, 1967년에 처음 개최된 이후 첨단 기술 트렌드를 소개하는
국내 첫 디지털 치료기기(DTx)의 허가와 처방이 이뤄졌지만, 현장에서 인식과 수가 등 상용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 업계에서는 상용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는 가운데, 2호 디지털 치료기기 허가 기업 웰트는 해외에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강성지 웰트 대표는 최근 드림플러스 강남에서 진행된 본지와 인터뷰에서 “해외에서 디지털 치료기기에 대한 규제나
뉴로핏은 개인맞춤형 경두개 전기자극(tDCS) 솔루션 ‘뉴로핏 잉크(Neurophet innk)’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72호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혁신의료기기는 tDCS 기기인 뉴로핏 잉크와 국내 1호 뇌 영상 치료 계획 소프트웨어 ‘뉴로핏 테스랩(Neurophet tES LAB)’이 결합된 조합의료기기로 최소 의
국내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22일 ‘반도체 5대 강국의 수출입 결합도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공급망을 진단하고 우리나라의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반도체 공급망에서 중국의 영향력은 여전하다. 메모리반도체는 한국, 시스템반도체는 대만과 긴밀한 생산체
리메드가 강세다. 로봇암을 이용한 완전 자동화 경두개 자기자극 치료 시스템의 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히면서다.
18일 오후 2시 15분 현재 리메드는 전 거래일 대비 12.01% 오른 3545원에 거래 중이다.
경두개 자기장 자극기(TMS)는 강력한 교류전자기장을 발생시켜 비침습적으로 뇌신경 세포를 자극해 우울, 불안, 강박증 등의 정신과 질환 및 뇌
“국내 BCI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부 지원을 기반으로 의료계와 학계, 기업이 협업해야 합니다.”
이기원 와이브레인 대표는 17일 이투데이 주최로 중소기업중앙회 KBIZ홀에서 열린 ‘2025 테크 퀘스트’에서 ‘국산 BCI 상용화 성공 사례 및 향후 전망: 의료환경, 규제 및 국제표준을 중심으로’를 주제로 발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BCI 연구
인간의 뇌에 칩을 이식해 말이나 행동을 제어하는 뇌 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 BCI)가 미래를 바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1973년 처음 개념이 등장한 BCI는 사지가 불편한 장애인들의 편의를 위해 개발됐다.
그러다 최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뇌 신경과학 기업 ‘뉴럴링크’로 인해 대중들의 관심
인간의 뇌에 이식한 컴퓨터 칩을 통해 말이나 행동을 제어하는 기술인 BCI의 잠재력을 알아보고 탐구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이투데이는 창간 14주년을 맞아 17일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 KBIZ홀에서 ‘인공지능(AI), 건강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2025 테크퀘스트(2025 Tech Quest)를 개최한다.
이날 오후에 열리는 세션 2에서는
인공지능(AI)이 인류의 모든 것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시대다. 정보통신기술(ICT) 분야는 물론 다양한 산업과 의과학 분야에서 지난 수년간 눈부신 기술 발전을 달성했다. 올해 노벨화학상과 물리학상 수상자로 AI 연구자들이 선정된 건, AI에 기반을 둔 과학과 기술진보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눈에 띄는 건 올해 화학상과 물리학상 모두 AI를 활용한 의과학분야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허셉틴 시밀러 ‘투즈뉴’ 유럽 허가 획득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로부터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투즈뉴’(성분명 트라스트주맙)의 품목 허가를 최종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올해 7월 26일 유럽 의약품청(EMA) 산하 약물사용 자문 위원회(CHMP)의 승인 권고 이후 2개월 만이다.
투즈뉴는 이번 최종 승인에
와이브레인은 처방용 우울증 전자약 마인드스팀이 누적 처방 9만 건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마인드스팀은 경증 및 중등증의 주요 우울장애 치료를 위한 제품으로 2021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시판 허가 후 2022년 6월 보건복지부 신의료기술 유예 대상 선정 및 비급여 고시를 받아 2023년부터 비급여 처방이 진행됐다.
현재까지 마인드스팀은 국내 14
와이브레인은 국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표준화 위원회(ISO/IEC JTC1/SC43)가 주간하는 BCI 심포지엄에 한국 대표로 발표했다고 5일 밝혔다.
이 회의는 BCI 국제표준화 위원회가 주최하는 국제 행사로 올해는 호주 시드니에서 2일부터 6일까지 개최된다. 국제 BCI 표준화 위원회는 2022년 3월에 설립돼, 뇌와 컴퓨터 간의 통신과
우울증 치료 전자약 마인드스팀 매출 효자연간 100억 매출 목표…내년 상장 도전
“올해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받은 편두통 전자약 두팡의 판매가 본격화되면 미국에서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전자약 개발 노하우를 바탕으로 BCI 개발도 집중할 것입니다.”
이기원 와이브레인 대표는 최근 경기도 성남 판교 본사에서 본지와 만나 “올해 FD
뉴아인은 보듬음악심리발달센터에 눈 건강 관리 기기 셀리나 제품을 100대 기부했다고 22일 밝혔다.
기부한 제품은 부산시 교육청 운영 교원힐링센터, 부산소방본부, 부경대학교 심리센터, 부산·울산 지역 여러 장애기관 및 단체 등에 전달될 예정이다. 이번 전달식은 이달 20일 보듬음악심리발달센터가 주최하는 ‘제3회 더어울림 예술제’에서 진행됐다.
보듬음
아이엠바이오로직스, 美 네비게이터 메디신에 1조3000억 기술이전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미국 네비게이터 메디신과 임상 1상 단계의 이중항체 기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IMB-101의 라이선스 아웃 계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계약금은 총 2000만 달러(약 276억 원)이며, 개발 및 상업화 단계에 따른 마일스톤으로 최대 9억 2475만 달러(1조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