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새해예산 올해보다 5% 안팎 증액 검토

입력 2014-08-31 10: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당정이 내년 예산안을 올해보다 5% 안팎 증액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31일 정부와 여당에 따르면 새누리당과 기획재정부는 다음달 2일 국회에서 2015년도 예산안과 관련한 당정 협의를 할 예정이다.

새누리당 정책위 관계자는 "지난 26일 당정 협의에서 내년 예산안을 얼마나 늘릴지에 대한 정부의 생각을 들었다"면서 "다가오는 당정 협의에서 예산안 총액 증액률을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경기 활성화와 세수 여건, 균형 재정 등을 고려해 내년 예산을 올해 예산보다 5% 안팎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최종 숫자는 당정 협의에서 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내년 예산이 올해(355조8000억원)보다 5% 늘어나면 373조5900억원이 된다. 정부 각 부처가 제출한 내년 예산·기금의 총지출 요구 규모는 올해 예산보다 6.0% 증가한 377조원이다.

예산 증액률 5%는 올해 예산 증가율 4%와 정부가 2013∼2017년 중기 재정지출 계획에서 제시한 연평균 증액률 3.5%보다 높은 수준이다. 그러나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확장적 재정정책을 펼치려는 새 경제팀의 경제정책방향이 발표된 지난 7월에 예측된 10% 안팎보다는 훨씬 낮다.

새누리당의 다른 관계자는 "당정이 확장적 재정정책에 대한 공감대를 갖고 있지만 세수 등을 감안하면 무한정 내년 예산을 늘릴 수는 없다"면서 "예산 증가율이 5% 전후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내년 예산안과 관련해 "현재 편성 작업을 하고 있으며 총지출 증가율 등 구체적인 내용은 전혀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부는 현재 내수활성화 등 체감 경기 진작을 위한 투자 확대에 초점을 맞춰 내년 예산안을 편성하고 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문제가 제기된 안전 강화를 위해 안전 예산을 확충하고 경기 진작에 필요한 예산 확보와 재정건전성을 위해 유사·중복사업의 통폐합 등 재정 낭비 요인을 제거한다는 데에도 방점을 두고 있다.

경기 진작을 위해서는 벤처·창업 생태계 활성화, 내수 기반 확대, 투자 여건 확충, 청년·여성의 고용률 제고 등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입시·취업·주거·보육·노후 등 세대별 5대 불안 해소, 생애주기·수혜대상별 맞춤형 고용·복지 강화 등에 대한 재정지출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안전 관련 예산은 올해 12조4000억원보다 12.9% 늘어난 14조원 수준으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유사·중복사업의 통폐합으로 내년부터 3년 동안 6000여개 재정사업의 10%에 달하는 600개 사업을 줄일 예정이다. 성격이 비슷하지만 여러 부처에 산재해 있는 고용 지원, 중소기업 지원, 홍보 등이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당정 협의, 국무회의 등을 거쳐 내년 예산안을 확정하고 이를 다음 달 중순께 발표한 뒤 같은 달 23일까지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사즉생' 발언 후 첫 주총 삼성전자, 고강도 쇄신 나선다
  • 후폭풍 '미미'→재지정…열흘 만에 180도 바뀐 서울시…"시장 혼란만 증폭"[3·19 안정화 방안]
  • 리얼 허거덩거덩스·햄부기햄북…성인 80% "신조어로 세대 간 소통 불편" [데이터클립]
  • "약속을 잘 지키는 생선이 있다"…'조기'를 아시나요? [레저로그인]
  • 김수현 소속사 반박에…김새론 측 "미성년 시절 입증 사진 포렌식"
  • "3년도 안 돼 문 닫는다"…빚만 1억, 소상공인 '눈물의 폐업'
  • “선예매도 ‘등급’이 있어요” 프로야구 티켓 논란…최상위는 암표? [해시태그]
  • "사직서 내러 뛰어가나?"…'언슬전', 싸늘한 안방극장 시선 돌릴까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3.1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153,000
    • +1.61%
    • 이더리움
    • 2,961,000
    • +6.63%
    • 비트코인 캐시
    • 499,600
    • +0.89%
    • 리플
    • 3,426
    • +2.88%
    • 솔라나
    • 188,800
    • +3.79%
    • 에이다
    • 1,064
    • +3.2%
    • 이오스
    • 856
    • +19.22%
    • 트론
    • 339
    • +3.04%
    • 스텔라루멘
    • 420
    • +6.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250
    • +3.85%
    • 체인링크
    • 21,150
    • +4.34%
    • 샌드박스
    • 430
    • +5.65%
* 24시간 변동률 기준